백령도 주민들 軍초기대응 미숙에 아쉬움
해군 함정 ‘천안함’이 백령도 해상에서 침몰된 지 5일째인 30일 백령도 주민들의 관심은 온통 이번 사고에 집중돼 있다.북방한계선(NLL)에서 북한의 도발이 있을 때에도 “우리는 아무렇지도 않은데 보도진이 긴장을 부추긴다.”며 덤덤해하는 주민들이지만 이번에는 사정이 다르다. 삼삼오오 모여 이번 사태를 걱정하는가 하면 답답한 심정에 바닷가로 달려가 수색현장을 지켜보는 이들도 있다.
주민들은 무엇보다 장병 46명이 아직 바다 밑에 갇혀 있는 데다 구조작업이 더딘 것에 이구동성으로 안타까움을 표시하고 있다.
이모(54·여·진촌1리)씨는 이날 “실종된 장병 부모들은 얼마나 속이 타겠는가. 왜 이렇게 구조작업이 진전되지 않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해상사고의 특성을 아는 어민들을 중심으로 실종자들이 생존해 있을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분석이 일기도 한다.
진촌어촌계 어민 이모(53)씨는 “안타깝지만 바다에서 선박 침몰사고가 일어났을 때 바로 구조되지 못하면 사망한 것으로 봐야 한다.”고 밝혔다.
사고 초기 대응이 잘못됐다고 탓하는 주민들도 있다. 우모(55·북포리)씨는 “사고 직후 침몰한 배 뒷부분은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2시간 후에 완전히 침몰한 앞부분은 구조에 나선 함정들이 로프를 걸어 끌고 왔어야 했다.”고 말했다. 어부 경력 20년인 우씨는 이것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 [사진] 실낱같은 희망이라도…천안함 침몰 그후
2010-03-31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