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희생자·유족에 이 노래 바칩니다”

“천안함 희생자·유족에 이 노래 바칩니다”

입력 2010-05-03 00:00
업데이트 2010-05-03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게리 무어 지난달 첫 내한공연 ‘스틸 갓 더 블루스’ 등 연주

한 시간 정도 지났을까. 그가 주섬주섬 종이 쪽지를 꺼내 들었다. 또렷한 목소리로 말했다. “천안함 사건으로 목숨을 잃은 분들과 가족들, 그리고 여러분에게 이 노래를 바친다.”

이미지 확대
그가 선택한 곡은 ‘스틸 갓 더 블루스’였다. 관객 4000여명의 박수와 환호성이 서울 방이동 올림픽공원 펜싱경기장에 물결쳤다. 최대 히트곡이자 앞선 네 차례 일본 공연에서도 쭉 연주했던 터라 한국을 위해 특별히 준비한 노래는 아니었지만 마음 씀씀이가 느껴지는 부분이었다. “오랫동안 당신이 자리 잡고 있던 내 마음이 이제는 텅 비어 버렸다.”는 노랫말이 가슴을 울렸다.

지난달 30일 4월의 마지막 밤에 있었던 ‘블루스 기타의 대가’ 게리 무어(58)의 첫 내한공연은 말 그대로 명불허전(名不虛傳)이었다. 지난 3월 먼저 왔던 또 다른 기타 영웅 제프 벡이 세련됐다면 푸근한 인상에 꽃무늬 셔츠, 청바지의 단출한 차림을 한 그는 친근한 이웃집 아저씨 같았다. 벡이 깔끔하고 정교했다면 무어는 끈적끈적하고 정감이 있었다.

대부분 노래가 최고 히트 앨범 ‘스틸 갓 더 블루스’와 최신 앨범 ‘배드 포 유 베이비’에서 나왔다. 시작은 로큰롤의 흥겨움이 진한 블루스 록이었다. 트레이드 마크인 깁슨 레스폴 기타로 ‘오 프리티 우먼’을 들려준 그는 깁슨 파이어버드로 기타를 바꿔 ‘배드 포 유 베이비’와 ‘다운 인 더 라인’을 연주했다. 다시 레스폴을 잡은 네 번째 곡 ‘신스 아이 메트 유 베이비’까지 흥겨움을 이어간 무어는 노래가 끝날 때마다 허리 숙여 인사를 하거나 “고맙다.”는 말을 잊지 않았다. 이후 푸른 빛 조명과 어우러진 블루스 시간. 손가락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현란한 왼손 핑거링에, 기타줄을 뜯고 쓸어 올리고 내리는 강렬한 오른손 피킹에, 기타 줄을 들어 올리며 음정 변화를 주는 특유의 벤딩 주법에 관객은 넋을 잃었다. 그도 관객도 때로는 절규하고 때로는 흐느끼며 쓸쓸함이, 애절함이, 허전함이, 처연함이 묻어 나는 기타에 취했다.

무어는 커튼콜이 나올 새도 없이 곧 돌아온다며 잠깐 백스테이지에 다녀온 뒤 ‘블루스 이스 올라잇’으로 관객 모두를 일으켜 세워 스탠딩 공연을 만들었다. 또다시 백스테이지에 다녀온 그가 기타 줄을 튕기자 관객들은 까무라치는 듯했다. 불후의 명곡 ‘파리지엔 워크웨이스’가 흘러나온 것. 황홀경의 도가니였다. 그리고 대단원. 잠시 미소를 띠며 관객들을 바라보던 무어는 손키스를 날리며 “내년에 또 보자.”는 말을 남기고 작별을 고했다. 90분이 조금 넘는, 짧지만 강렬했던 공연. 관객들은 아쉬움에 ‘위 원트 무어’(We Want Moore)를 연발했지만 그는 다시 무대로 돌아오지 않았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10-05-03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