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제주시 영평동 516도로변 상명대학교 제주수련원에 문을 연 ‘부엉이 박물관’에서 만난 윤종완(65·국제태권도 전공) 교수는 오랫동안 함께해 온 부엉이들을 세상 밖으로 내보내며 “관광객이 많이 오고 공간도 넓은 곳에서 많은 사람이 공유할 수 있어 아쉽기보다는 행복하다.”고 밝혔다.
그는 올 8월 정년퇴직을 앞두고 20년 넘게 전 세계 70여개국을 돌아다니며 수집한 부엉이 관련 미술품 및 공예품 1000점을 학교에 기증, 박물관을 개관했다.
세미나실을 고쳐 만든 115㎡ 규모의 아담한 박물관에는 접시, 컵, 재떨이, 휴대전화 액세서리, 열쇠고리, 병따개, 옷걸이 등 생활용품은 물론 퍼즐, 연필꽂이, 클립, 저금통 등 문구, 보석함, 종, 촛대 등 공예품까지 부엉이와 관련된 모든 것이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윤 교수와 부엉이의 인연은 198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상명대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던 멕시코 아우토노마메트로폴리타나대학을 방문했다가 총장으로부터 그 대학의 상징인 부엉이 기념품 3점을 선물 받으면서 시작됐다.
이후 태권도를 알리려고 노르웨이 최북단 마을에서 페루의 마추픽추, 나미비아 사막까지 지구촌 곳곳을 누비는 과정에서 발품을 팔아 부엉이를 하나하나 모아왔다. “세미나 차 외국에 나갈 때면 어딜 가도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건 부엉이더라고요. 아이들 선물은 못 사와도 부엉이는 사왔지요.”
“보여줄 순 없지만 지금 입은 속옷에도 부엉이가 그려져 있다.”고 말하며 웃는 윤 교수.
“학교를 그만두면 아프리카 카메룬으로 배낭여행을 떠날 거예요. 앞으로도 태권도와 관계된 일이라면 뭐든 할 거고, 부엉이도 평생 모을 겁니다.”
연합뉴스
2010-05-1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