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전선 근처 민간인출입통제선(민통선) 안쪽에서 북한군이 사용하는 ‘목함지뢰’ 폭발사고로 민간인 1명이 사망하고 1명이 크게 다쳐 군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1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31일 밤 11시20분쯤 경기 연천 민통선 안쪽 임진강 지류 사미천에서 낚시를 하던 주민 한모(48)씨와 김모(25)씨가 목함지뢰 2발을 주워 이동하던 중 1발이 폭발해 한씨가 숨지고 김씨는 중상을 입었다.
이미지 확대
육군 1군단 소속 25사단 병사들이 1일 경기 연천 민간인출입통제선 안쪽에 있는 임진강 지류 인근지역을 지뢰탐지기로 훑으며 북에서 떠내려온 목함지뢰를 찾고 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육군 1군단 소속 25사단 병사들이 1일 경기 연천 민간인출입통제선 안쪽에 있는 임진강 지류 인근지역을 지뢰탐지기로 훑으며 북에서 떠내려온 목함지뢰를 찾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사고가 발생하자 관할부대인 육군 1군단은 이날 오전부터 사고현장에 병력을 투입해 주변 100여m 구간을 수색, 17발의 목함지뢰를 추가로 발견했다. 또 전날 경기 강화도 해안 일대에서 10발을 발견한 데 이어 강화 석모도 등에서 6발을 추가로 찾아내는 등 모두 35발의 목함지뢰를 발견했다.
군은 사고 발생 직후 목함지뢰 발견 지역 등 전방지역 11개 부대의 병력과 장비를 동원해 대대적인 목함지뢰 수거에 나서는 한편, 민간인의 민통선 출입을 엄격히 통제했다. 그동안 목함지뢰가 남한지역으로 떠내려온 사례는 보고된 적이 없으며 사상자를 낸 것도 처음인 것으로 군 당국은 파악하고 있다.
군 당국은 현재 북한군이 매설하거나 보관 중이던 지뢰가 북한지역에 내린 폭우로 유실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강화지역에서 발견된 지뢰는 안전핀이 제거되지 않고 외관이 깨끗해 폭우로 탄약고 등이 무너지면서 유실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사미천 근처에서 발견된 지뢰들은 모두 안전핀이 제거됐고 많이 부식된 점으로 미뤄 북한지역에 묻혀 있다가 최근 폭우로 강물에 휩쓸려 떠내려온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군은 현재 임진강에서 한강으로 이어지는 지역과 강화도 일대에서 더 많은 목함지뢰가 발견될 것으로 관측했다. 국방부는 이날 오후 5시쯤 북한군에 목함지뢰 유실로 인한 사고의 재발방지를 촉구하는 전화통지문을 서해 군 통신선을 통해 보냈다.
목함지뢰는 러시아 방식으로 북한이 모방생산했으며 폭약 등이 들어 있는 외부 상자를 나무로 만들어 물에 잘 떠다닌다. 겉보기에는 나무상자로 보여 발견자가 경계심없이 만져 사고를 당할 우려가 크다. 밟으면 작동하는 ‘압력식’과 줄을 건드리거나 뚜껑을 열면 터지는 ‘인력해제식’ 등 두 종류가 있다. 폭약 용량은 200g으로 비교적 소량이지만, 사람 가까이에서 폭발할 경우 살상이 가능하다.
합참 관계자는 “북한이 특별한 의도를 가지고 목함지뢰를 남쪽으로 보낸 것으로 판단하고 있지 않다.”면서 “폭우 때문인 것으로 보이며 현재까지 북한군의 특이동향은 없다.”고 말했다.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2010-08-02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