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사업 중단’을 촉구하는 환경단체 활동가 3명이 지난 22일 경기도 여주군 남한강 이포보 다리 기둥을 기습 점거하면서 차분하던 여주지역 민심이 요동치고 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사업 찬성 주민들이 ‘맞불집회’를 열고 이를 반대하는 환경단체와 몸싸움까지 불사하며 반격에 나선 것이다. 주민들은 6.2지방선거 전까지만 해도 환경단체나 종교계가 여주지역에서 4대강 사업 반대 집회를 열어도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주민들은 “1천500년 만에 찾아온 절호의 기회”라며 “수도권정비계획법 등 중첩규제에 묶인 여주가 유일하게 발전할 기회를 막지 말고 여주를 떠나라”고 격하게 반응했다.
4대강 살리기 사업은 이 같은 찬반 격랑 속에서 예정했던 목표 공정률을 웃돌며 정상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공사 순조롭게 진행
한강살리기 사업은 4대강 사업 가운데 남한강 본류를 비롯해 북한강 일부를 포함한다. 총사업비 1조2천330억원이 투입돼 2012년까지 완공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2천400만명 수도권 주민의 식수원인 팔당호 유역의 수질을 보호하고 홍수 등 재해로부터 완벽하게 보호되는 친수공간 조성을 목표로 지난해 9월 공사가 시작됐다.
홍수피해 방지를 위해 둑 93㎞가 보강되고 하도 4천500만㎦가 정비되며 풍부한 물 확보를 위해 남한강유역에 여주보, 이포보, 강천보 등 다기능 3개 보가 설치돼 이를 이용한 소수력발전소도 만들어진다.
또 생태계 복원을 위해 하천 136㎞가 환경정비를 받고 자전거도로 136㎞를 비롯해 수상레포츠시설, 체육공원, 물놀이장, 생태관찰장 등이 만들어지고 있다.
모두 9개 공구 가운데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이 3, 4, 9공구를 직접 맡고 나머지는 경기도가 1, 2, 5공구, 수자원공사가 6공구를 각각 공사 중이다.
한강수계의 전체 공정률은 7월말 현재 24.3%.
계획했던 목표 공정률 22.2%보다 2.1% 포인트 웃돌며 정상적으로 착착 진행되고 있다. 이포보, 여주보, 강천보 공사도 차질없이 진행돼 계획했던 공정보다 높은 실적을 보이고 있다.
남한강 홍수피해 예방을 위해 시행중인 퇴적토 준설은 한강살리기 2∼6공구에서 전체 준설량 5천800만㎥가운데 이미 2천500만㎥(43%)가 퍼올려 졌다.
이 때문에 수해 취약지역인 여주읍 일대의 남한강 수위가 46㎝가량 낮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달 16∼17일 장마 기간에 여주지역에는 평균 83㎜의 많은 비가 내렸지만 4대강 공사현장에서는 강우에 전 장비와 인력을 철수시켜 비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국토해양부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 김희국 부본부장은 “지금까지 4대강 살리기 공사는 핵심공정인 보 설치와 준설에 치중해 애초 목표보다 10%가량 빠른 진척을 보이고 있다”며 “사업을 성공적으로 끝내 정부가 이 사업을 왜 했는지 국민에게 보여주고 싶다”고 말했다.
●”발전 기회 막지 마라” vs “사업중단하라”
한강 수계는 지자체 간의 찬.반 갈등을 겪는 낙동강 수계와 달리 경기도와 양평.여주.가평군, 광주.남양주시 등 6개 지자체가 모두 찬성해 큰 문제는 없다.
특히 사업구간 대부분을 차지하는 여주지역은 주민과 여주군 모두 절대적인 지지를 보내고 있다.
여주군은 정부의 4대강 사업 마스터플랜이 나온 지난해 7월 여주지역 사회단체장과 주민 등 1천여명이 모여 ‘사업 적극 찬성, 사업 조기 추진’을 정부에 건의한 이후 행정 지원에 힘을 쏟고 있다.
여주군과 주민은 치수(治水)는 물론, 수도권정비계획법과 수질환경보전법 등 중첩 규제로 고통받은 여주가 새롭게 발전할 유일한 기회라는 기대감에 부풀어 있다. 1천500년만에 찾아온 절호의 기회라는 말까지 나왔다.
커다란 경제적 실익도 이미 챙겼다. 지난 1월 남한강정비사업에 따른 골재판매 예상이익금 가운데 경기도와 여주군이 나눠 가질 몫 1천억여원을 모두 여주군이 갖기로 경기도와 합의했다.
김문수 지사는 “총예산 2천746억원인 여주군이 4대강 사업으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이 2천억원을 넘을 정도로 여주군민에게는 절호의 발전 기회”라며 “지자체와 주민은 압도적으로 찬성하고 있는데, 현장을 보지도 않고 무작정 반대하면 안 되고, 정치적으로 활용해서도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런 기대와 실익으로 여주에 찾아와 4대강 사업반대를 외치는 사회단체.종교계에 대한 주민들의 거부감도 점차 커지는 양상이다.
지난해 7월부터 1년간 정당.사회단체.종교계가 여주에 찾아와 4대강 사업 저지대회를 열어도 별다른 대응을 자제하고 지켜보기만 하던 여주 주민들은 최근 환경운동연합 활동가들의 이포보 공사현장 기습점거농성에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주민들은 “환경단체와 종교단체가 남의 지역에 들어와 지역발전을 위한 사업을 방해하고 있다”며 “모두 떠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찬성 주민들은 지난 26일 이 사업을 반대하는 4대 종단의 행사가 이포보 공사현장에서 열리자 종단이 내건 ‘4대강 사업 중단’ 현수막을 빼앗고 몸싸움까지 벌였다. 더는 두고 볼 수 없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이포보 주변 마을인 대신면 이장협의회 신남교 회장은 “여주주민 대다수가 찬성하는 일을 환경단체 등 외지인이 와서 정치적인 논리를 앞세우며 무조건 반대하는 것을 더는 두고 볼 수 없어 주민들이 나섰다”며 “이달 중순께 4대강 사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하남시를 포함해 팔당상수원을 끼고 있는 7개 시.군 주민 2천여명이 이포보에 모여 사업 찬성 지지 대회를 열 계획”이라고 말했다.
여주군 한강살리기TF 추성칠 팀장은 “이미 공사가 30% 가까이 진행돼 중단하라고 해서 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며 “홍수를 예방하고 여주군의 발전을 위해서는 4대강 사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4대강 사업을 반대하는 사회단체.종교계 등은 “4대강 사업은 비이성적이고 반생태적인 사업”이라고 주장하고 “4대강 사업 검증 특위를 즉각 구성해 현장조사에 나서라”고 맞서고 있다.
연합뉴스
이 사건을 계기로 사업 찬성 주민들이 ‘맞불집회’를 열고 이를 반대하는 환경단체와 몸싸움까지 불사하며 반격에 나선 것이다. 주민들은 6.2지방선거 전까지만 해도 환경단체나 종교계가 여주지역에서 4대강 사업 반대 집회를 열어도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주민들은 “1천500년 만에 찾아온 절호의 기회”라며 “수도권정비계획법 등 중첩규제에 묶인 여주가 유일하게 발전할 기회를 막지 말고 여주를 떠나라”고 격하게 반응했다.
4대강 살리기 사업은 이 같은 찬반 격랑 속에서 예정했던 목표 공정률을 웃돌며 정상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공사 순조롭게 진행
한강살리기 사업은 4대강 사업 가운데 남한강 본류를 비롯해 북한강 일부를 포함한다. 총사업비 1조2천330억원이 투입돼 2012년까지 완공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2천400만명 수도권 주민의 식수원인 팔당호 유역의 수질을 보호하고 홍수 등 재해로부터 완벽하게 보호되는 친수공간 조성을 목표로 지난해 9월 공사가 시작됐다.
홍수피해 방지를 위해 둑 93㎞가 보강되고 하도 4천500만㎦가 정비되며 풍부한 물 확보를 위해 남한강유역에 여주보, 이포보, 강천보 등 다기능 3개 보가 설치돼 이를 이용한 소수력발전소도 만들어진다.
또 생태계 복원을 위해 하천 136㎞가 환경정비를 받고 자전거도로 136㎞를 비롯해 수상레포츠시설, 체육공원, 물놀이장, 생태관찰장 등이 만들어지고 있다.
모두 9개 공구 가운데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이 3, 4, 9공구를 직접 맡고 나머지는 경기도가 1, 2, 5공구, 수자원공사가 6공구를 각각 공사 중이다.
한강수계의 전체 공정률은 7월말 현재 24.3%.
계획했던 목표 공정률 22.2%보다 2.1% 포인트 웃돌며 정상적으로 착착 진행되고 있다. 이포보, 여주보, 강천보 공사도 차질없이 진행돼 계획했던 공정보다 높은 실적을 보이고 있다.
남한강 홍수피해 예방을 위해 시행중인 퇴적토 준설은 한강살리기 2∼6공구에서 전체 준설량 5천800만㎥가운데 이미 2천500만㎥(43%)가 퍼올려 졌다.
이 때문에 수해 취약지역인 여주읍 일대의 남한강 수위가 46㎝가량 낮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달 16∼17일 장마 기간에 여주지역에는 평균 83㎜의 많은 비가 내렸지만 4대강 공사현장에서는 강우에 전 장비와 인력을 철수시켜 비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국토해양부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 김희국 부본부장은 “지금까지 4대강 살리기 공사는 핵심공정인 보 설치와 준설에 치중해 애초 목표보다 10%가량 빠른 진척을 보이고 있다”며 “사업을 성공적으로 끝내 정부가 이 사업을 왜 했는지 국민에게 보여주고 싶다”고 말했다.
●”발전 기회 막지 마라” vs “사업중단하라”
한강 수계는 지자체 간의 찬.반 갈등을 겪는 낙동강 수계와 달리 경기도와 양평.여주.가평군, 광주.남양주시 등 6개 지자체가 모두 찬성해 큰 문제는 없다.
특히 사업구간 대부분을 차지하는 여주지역은 주민과 여주군 모두 절대적인 지지를 보내고 있다.
여주군은 정부의 4대강 사업 마스터플랜이 나온 지난해 7월 여주지역 사회단체장과 주민 등 1천여명이 모여 ‘사업 적극 찬성, 사업 조기 추진’을 정부에 건의한 이후 행정 지원에 힘을 쏟고 있다.
여주군과 주민은 치수(治水)는 물론, 수도권정비계획법과 수질환경보전법 등 중첩 규제로 고통받은 여주가 새롭게 발전할 유일한 기회라는 기대감에 부풀어 있다. 1천500년만에 찾아온 절호의 기회라는 말까지 나왔다.
커다란 경제적 실익도 이미 챙겼다. 지난 1월 남한강정비사업에 따른 골재판매 예상이익금 가운데 경기도와 여주군이 나눠 가질 몫 1천억여원을 모두 여주군이 갖기로 경기도와 합의했다.
김문수 지사는 “총예산 2천746억원인 여주군이 4대강 사업으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이 2천억원을 넘을 정도로 여주군민에게는 절호의 발전 기회”라며 “지자체와 주민은 압도적으로 찬성하고 있는데, 현장을 보지도 않고 무작정 반대하면 안 되고, 정치적으로 활용해서도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런 기대와 실익으로 여주에 찾아와 4대강 사업반대를 외치는 사회단체.종교계에 대한 주민들의 거부감도 점차 커지는 양상이다.
지난해 7월부터 1년간 정당.사회단체.종교계가 여주에 찾아와 4대강 사업 저지대회를 열어도 별다른 대응을 자제하고 지켜보기만 하던 여주 주민들은 최근 환경운동연합 활동가들의 이포보 공사현장 기습점거농성에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주민들은 “환경단체와 종교단체가 남의 지역에 들어와 지역발전을 위한 사업을 방해하고 있다”며 “모두 떠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찬성 주민들은 지난 26일 이 사업을 반대하는 4대 종단의 행사가 이포보 공사현장에서 열리자 종단이 내건 ‘4대강 사업 중단’ 현수막을 빼앗고 몸싸움까지 벌였다. 더는 두고 볼 수 없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이포보 주변 마을인 대신면 이장협의회 신남교 회장은 “여주주민 대다수가 찬성하는 일을 환경단체 등 외지인이 와서 정치적인 논리를 앞세우며 무조건 반대하는 것을 더는 두고 볼 수 없어 주민들이 나섰다”며 “이달 중순께 4대강 사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하남시를 포함해 팔당상수원을 끼고 있는 7개 시.군 주민 2천여명이 이포보에 모여 사업 찬성 지지 대회를 열 계획”이라고 말했다.
여주군 한강살리기TF 추성칠 팀장은 “이미 공사가 30% 가까이 진행돼 중단하라고 해서 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며 “홍수를 예방하고 여주군의 발전을 위해서는 4대강 사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4대강 사업을 반대하는 사회단체.종교계 등은 “4대강 사업은 비이성적이고 반생태적인 사업”이라고 주장하고 “4대강 사업 검증 특위를 즉각 구성해 현장조사에 나서라”고 맞서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