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끼와 위장결혼’ 외국여성에 성매매 알선

‘삐끼와 위장결혼’ 외국여성에 성매매 알선

입력 2010-08-13 00:00
수정 2010-08-13 13: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지방경찰청 국제범죄수사대는 13일 외국인 여성들을 내국인과 위장결혼시킨 뒤 유흥업소에서 성매매를 하게 한 혐의(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 등)로 장모(53)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하고 변모(35)씨를 불구속 입건했다.

 이들에게서 외국 여성들을 넘겨받아 고용한 최모(42)씨 등 강남 일대 유흥업소 업주와 종업원 6명,러시아인 I(29.여)씨 등 성매매를 한 외국인 여자 3명도 같은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장씨 등 포주 2명은 2001년부터 최근까지 I씨 등 유학이나 단기취업 비자로 입국한 러시아와 필리핀·카자흐스탄 출신 여성 30여명을 강남 일대 유흥업소 호객꾼(일명 삐끼) 등과 위장결혼시키고서 이들 업소에서 술 시중을 들고 성매매까지 하게 한 혐의를 받고 있다.

 조사결과 이들은 외국 여성들에게 체류 기간이 짧고 취업에 제한이 있는 단기비자 대신 내국인과 거의 동등한 자격이 주어지는 ‘국민의 배우자’ 비자(F-2-1)를 받게 하려고 가짜 결혼을 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내국인과 결혼한 외국인에게 발급되는 ‘국민의 배우자’ 비자는 취업에 제한이 없고 체류기간이 2년을 넘으면 국적 취득을 신청할 수도 있다.

 외국 여성들은 회원제로 운영되는 강남의 유흥업소에서 시간당 10만원에 술 시중을 들고서 업소와 비밀통로로 연결된 호텔이나 인근 모텔에서 40만원을 받고 성매매를 한 것으로 조사됐다.

 장씨 등은 러시아 인터넷 사이트에 광고 글을 직접 올리거나 러시아로 도망가 수배된 유학생 P(30.여)씨를 통해 외국인 여자들을 끌어들였다고 경찰은 전했다.

 경찰은 “적발된 외국인 여자들은 애초부터 유흥업소에서 일하기로 마음을 먹고 서울시내 대학에서 어학연수를 한다는 핑계로 입국한 것으로 보인다.국민의 배우자 비자가 취지와는 달리 불법취업에 악용되고 있어 유흥업소 등에 취업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혜영 서울시의원, 서울시 소상공인 조례 개정··· ‘디지털 기술 교육’ 지원 근거 마련

서울시의회 김혜영 의원(국민의힘, 광진4)이 대표발의한 ‘서울시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달 27일 서울시의회 제331회 정례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 개정은 디지털 환경 변화에 적응이 어려운 소상공인에게 체계적인 디지털 기술 교육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제도적 근거를 신설한 것으로, 실질적인 자생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서울시 소상공인 정책의 무게중심을 옮긴 입법 성과다. 개정된 조례에는 ‘소상공인의 디지털 기술 역량강화 교육’을 서울시가 실시할 수 있는 경영 및 창업지원 사업의 하나로 명시(제8조 제7호의3)해, 관련 교육사업을 지속적이고 구조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법적 기반을 갖췄다. 김 의원은 “디지털 기술이 일상화된 현재에도 키오스크 사용이나 온라인 판매조차 어려워하는 소상공인들이 여전히 많다”며 “단순한 재정지원만으로는 변화에 대응할 수 없으며, 스스로 살아남을 수 있는 역량을 키워주는 것이 진정한 지원”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소상공인진흥공단의 실태조사 결과에(2021년 기준)에 따르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소상공인의 비율은 전체의 15.4%에 불과하며, 특히 제조업(7.6%), 숙박·음식점업(7.6%), 수리
thumbnail - 김혜영 서울시의원, 서울시 소상공인 조례 개정··· ‘디지털 기술 교육’ 지원 근거 마련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