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름처럼 얇아 자유자재로 구부릴 수 있는 초소형 화학 실험칩(랩온어칩·Lab on a chip)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됐다. 랩온어칩이란 실험실에서 하는 복잡한 실험을 하나의 작은 칩 위에서 간단히 구현할 수 있게 한 장치를 뜻한다.
이미지 확대
김동표 교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동표 교수
충남대 김동표 교수 연구팀은 얇고 유연한 폴리이미드 필름 위에 레이저를 이용해 머리카락 굵기의 초소형 도랑을 만들어, 다양한 화학실험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실험칩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실험칩은 기존의 실리콘, 유리, 플라스틱 같은 딱딱한 재질의 기판에 비해 얇고 손으로 구부릴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진 데다, 400도의 고온과 영하 269도의 저온도에 견디는 강한 내구성도 가졌다. 또 기존 실리콘이나 유리로 만든 칩이 고가의 반도체 공정 시설을 이용해 비용이 많이 들고 제작도 어려워 성공률이 50~60%에 그쳤지만, 이번에 개발된 칩은 제작이 쉬워 성공률이 90%를 넘는다. 연구팀 관계자는 “제작비용이 유리칩과 실리콘칩에 비해 각각 30분의 1, 100분의 1에 불과해 쉽고 빠르게 화학공정 기법을 고안할 수 있게 됐다.”면서 “IT 기술과 융합해 지갑 속에 휴대할 수 있는 질병 진단기 등 개발 가능성이 열렸다.”고 말했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0-08-16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