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중축소 과목 교사·사범대생 반발
“사실상 국어·영어·수학만 잘하면 좋은 대학 가게 됐는데 어떤 학생이 시간을 들여 한국사를 배우고 윤리를 배우겠습니까.”(A대학 지리교육과 2년 김찬연씨)수험생의 학습 부담 경감을 위해 응시 과목 수를 대폭 줄이는 내용을 골자로 한 ‘2014년 수능 개편안’이 실시될 때 국·영·수를 제외한 기타 과목 비중이 축소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탐구 과목과 제2외국어·한문을 가르치는 일선 교사와 사범대생의 반발이 일고 있다. 2007년에 개정된 7차 교육 개정과정이 시행되기 전에 개정된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반발도 재점화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이번 개편안을 토대로 이르면 올 연말 최종안을 확정할 계획이어서 해당 과목 교사와 사범대 재학생을 중심으로 상경시위를 하려는 움직임도 감지된다.
고교 윤리 교사인 이금준씨는 “지난해 개정 교육과정이 국·영·수 중심으로 편중됐는데, 수능마저 이렇게 돼 버리면 교실에서 정상적인 수업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범대 한문교육과 2학년 이정신(22)씨는 “이미 수능 시험에서 과목 비중이 줄어들면서 한문 교사를 다른 과로 전과시키는 사례가 늘고 있다.”면서 “학과 존립기반 자체가 무너질 지경이어서 대규모 반대 운동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고 전했다.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경기 부천시 역곡중 박만용 교사는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시간을 붙여서 수업하는 집중이수제가 실시되면서 대부분의 학교가 도덕·사회·음악·미술·한문 과목을 2학기에만 이수하고 끝내도록 배치한 반면 국·영·수 비중을 늘렸다.”면서 “결국 입시의 중요도에 따라 교육과정을 만들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서울 대방중 이창희 교무부장은 “3개년 동안 학습하던 과목을 갑자기 몰아서 이수하면서 특정 과목 교사에게 한 학기에는 수업이 몰리고 다음 학기에는 일이 없어져, 교사들 간 갈등을 야기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0-08-23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