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연꽃단지 조성지역서 대단위 마을유적 발굴
백제가 3세기 무렵에 이미 지금의 강원도 화천 일대까지 진출했음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발굴 성과가 나왔다.
화천 연합뉴스
4대강 사업에 포함된 강원도 화천군 하남면 원천리 충적대지에서 백제가 1800여년 전에 지금의 화천 일대까지 진출했음을 보여주는 대규모 취락 유적이 15일 확인됐다.
화천 연합뉴스
화천 연합뉴스
매장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예맥문화재연구원(원장 정연우)은 4대강(북한강) 살리기 사업 구간에 포함돼 연꽃단지 조성이 예정된 화천군 하남면 원천리 42-1일대 강변 충적대지 1만 7500㎡를 발굴조사한 결과 빠르면 2세기 말, 늦어도 3세기 무렵(한성도읍기·BC 18~AD 475)에 등장한 것으로 추정되는 대단위 마을유적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현장에는 청동기시대 집터 20곳과 석관묘(石棺墓) 1곳, 한성 백제시대의 가장 뚜렷한 유산으로 간주되는 평면 呂자형 집터 136곳과 수혈유구(竪穴遺構·구덩이흔적)다수, 도랑 흔적 등이 발견됐다. 조사단은 “집터와 유물 출토 양상으로 볼 때 한성백제의 북한강 상류 진출 양상을 보여주는 획기적인 유적”이라고 말했다.
3세기 무렵 완연한 백제 색채를 띠는 대규모 마을 유적이 화천에서 발견됨에 따라 백제가 이미 시조 온조왕 시대인 기원전 6년에 지금의 춘천 일대로 생각되는 주양(朱壤)까지 진출했다는 기록이 사실일 가능성이 한층 커진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 이번 발굴로 4대강 사업의 일환인 연꽃단지 계획이 변경될 가능성이 커졌다. 이날 현장을 찾은 이건무 문화재청장은 유적 처리와 관련해 “지도위원회와 문화재위원회가 결정하는 대로 원칙에 따라 하겠다.”고 말했다. 지도위원들은 회의에서 일단 ‘조사 후 보존’으로 의견을 모았다.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0-09-16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