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내 일 만들기 프로젝트] 원전인력 10년간 2만4000명 더 필요

[청년 내 일 만들기 프로젝트] 원전인력 10년간 2만4000명 더 필요

입력 2010-10-15 00:00
업데이트 2010-10-15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문교육 이수자는 우선 채용 방침

정부는 원자력발전 공기업의 정원을 최대 1만 5900명까지 늘리는 한편 원전 전문교육을 받은 인력을 우선 채용하겠다는 방침이다.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의 원전개발 수주를 계기로 전망이 밝아진 원전 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키우는 데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학교·원전현장 격차 좁히기 초점

14일 지식경제부가 마련한 ‘원자력발전 인력수급 전망과 양성대책’을 보면 2008년 기준 원전 인력은 총 2만 1460명으로 UAE 원전 수주와 국내 원전 건설 계획에 따라 2020년까지 약 2만 4000명의 신규인력이 추가로 필요한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에서는 최근 10년간 추가 원전 발주가 없었지만 올해부터 2020년까지 6~9기가 동시에 건설할 계획이고 UAE에서도 4기가 건설된다.

원자력 분야는 졸업자를 곧바로 현장으로 투입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인력 양성대책은 학교와 현장채용의 격차를 좁히는데 초점이 맞춰졌다.

우선 한국수력원자력 등 원자력 공기업이 2015년까지 이공계 졸업예정자 및 졸업자 2215명을 인턴으로 선발해 6개월간 현장교육을 실시한다. 원자력공기업은 신입사원 선발시 인턴의 최대 70%를 우선 채용하게 된다.

●특성화대 졸업자 가산점·특채

또 올해 안에 원전특성화 대학교 2곳을 선정해 여기서 배출된 인력은 기업 채용 때 가산점을 주거나 특별채용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기능인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올 3월 개교한 에너지 마이스터고인 수도전기공고에 원자력 교육과정을 신설하고, 원전 인근의 공고를 추가로 원전마이스터고로 새로 지정하기로 했다. 또 원전 및 기자재 집적지 인근의 폴리텍 대학 4곳에는 원전 특화 직업교육훈련과정을 신설해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하고, 교육생 1인당 교육비, 기숙사비 등 420만원씩 지급할 계획이다.

●전문가 부족 국가에 퇴직자 지원

고급 연구·개발(R&D)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 대학’ 사업에 원자력 분야를 별도 배정하고 원자력 관련 중점연구소를 신규 지정하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2012년 3월 개교하는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에서 수출대상국의 전문인력을 교육하고 수출대상국의 대학과 협력해 해외교육센터를 설치, 운영하고 국내 전문가를 파견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원전 전문인력이 부족한 국가에는 퇴직인력을 취업시키는 사업을 추진할 ‘원전인력양성지원센터’도 지어진다.

한편 원전 공기업이 2020년까지 최대 1만 5900명의 정원을 늘리는 방안과 인력을 즉시 확보 할 수 있도록 우선 인력을 채용하고 나중에 정원에 반영하는 방안도 시행된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2010-10-15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