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마지막날 작별상봉 … 눈물바다 1시간
“이제 다시는 못 볼 텐데 어떡해.” “통일 되는 날까지 굳세게 살자.” 1일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에서 열린 남북 이산가족 1차 작별상봉은 말 그대로 눈물바다였다. 다시는 못 만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이산가족들은 서로를 부둥켜안고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다. 그들에게 작별상봉 1시간은 다시는 오지 않을, 놓치고 싶지 않은 순간이었다.이번 상봉에 참가하기 위해 5년 만에 휠체어를 타고 집 밖으로 나온 최고령 김례정(96)씨는 북측 딸 우정혜(71)씨를 작별상봉에서 만나자마자 울음을 터뜨렸다가 심장통증을 호소하며 기력을 잃었다. 의료진이 달려와 안정을 취하기 위해 의무실로 가자고 권했으나 김씨는 단호히 거부했다. 김씨는 가쁜 숨을 몰아쉬면서도 딸의 손을 놓지 않았다.

금강산 사진공동취재단
남북이산가족 1차 상봉행사 마지막 날인 1일 오전 금강산 면회소에서 상봉을 마치고 버스에 탄 북측 가족들이 눈물을 머금은 채 창밖으로 손을 흔들며 남측 가족들과의 작별을 아쉬워하고 있다.
금강산 사진공동취재단
금강산 사진공동취재단
작별상봉 종료가 10분 남았다는 안내방송이 나오자 남북 가족들은 서로 큰 절을 올렸다. 또 ‘우리의 소원은 통일’을 합창하기도 했다. 북측 가족을 태운 버스가 떠날 준비를 하자 남측 가족은 창문에 매달려 마지막 떠나는 가족들의 모습을 조금이라도 더 담기 위해 애를 썼다.
지난달 30일부터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 등에서 열린 이산가족 1차 상봉행사에 참가한 남북 97가족 546명은 이날 작별상봉을 끝으로 기약 없이 헤어졌다. 이산가족 2차 94가족 340명은 3~5일 상봉한다.
한편 유종하 대한적십자사(한적) 총재는 “이산가족 행사를 다시 시작하려면 여러가지 기후 조건을 봐서 내년 3월에 하지 않겠나 생각한다.”며 “그 3개월을 그냥 허비하지 않고 생사확인이라도 하자고 북측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한적은 지난달 26~27일 남북 적십자회담에서 매월 상봉 및 각 5000명 규모의 생사주소확인사업을 제안했었다.
이산가족 상봉단장인 유 총재는 지난달 31일 오후 금강산 외금강호텔에서 열린 공동취재단 기자간담회에서 “재해성 대북 구호에 대해서는 능력 범위 안에서 조건 없이 지원할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유 총재는 지난달 30일 환영만찬에 이어 31일 만찬을 겸한 비공식 회동에서 최성익 북측 상봉단장을 만나 이런 방침을 전했다고 덧붙였다.
유 총재는 그러나 “북측의 요구 규모(지난달 26~27일 적십자회담에서 쌀 50만t, 비료 30만t 요구)가 대단히 크기 때문에 적십자의 능력 밖이고, 당국 간 합의에 의해 가능한 사안은 적십자가 당국 간 대화를 준비하고 도와주는 방향에서 하게 될 것”이라며 공을 정부로 넘겼다.
재해성 구호와 관련, 북측은 신의주뿐 아니라 원산 지역에도 상당한 홍수 피해가 있었다고 밝혔으며, 유 총재는 “그런 홍수 피해를 확인해 줄 수 있는 정보를 주면 지원해 주겠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유 총재는 이산가족 상봉 전망에 대해 “남북 적십자 간 협력사업은 상호성을 갖고 공동으로 하자고 했고, 북측의 이해를 증진시켰다고 보기 때문에 과거보다는 이산가족이 활성화되지 않겠나 조심스러운 희망을 갖게 됐다.”며 “북측에서 우리 측 의견을 반박하지 않으니까 작년에 비해서는 상황이 좋은 쪽으로 가지 않겠나 희망한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금강산공동취재단 chaplin7@seoul.co.kr
2010-11-02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