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像 빈자리 채우는 가림판·LED스크린

이순신像 빈자리 채우는 가림판·LED스크린

입력 2010-11-14 00:00
수정 2010-11-14 16: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광화문 광장을 지키던 이순신 장군 동상은 수리를 위해 잠시 자리를 비웠지만,시민은 그 자리에서 여전히 이순신 장군을 느끼고 체험할 수 있다.

 14일 오전 서울시는 이순신 장군 동상을 수리하고자 이틀에 걸친 작업 끝에 장군상을 경기도 이천의 한 공장으로 잠시 옮겼다.

 서울시는 장군상을 옮긴 직후 우선 동상이 있던 기단 위 자리에는 가로 약 3m,높이 6m 크기의 직각 기둥 형태의 미색 가림판을 설치했다.

 가림판 디자인은 ‘이순신 장군이 새 갑옷으로 갈아입는다’는 의미를 담은 것으로,가림판 정면에는 ‘탈의중’이 적힌 문이 인쇄됐으며,측면에는 청동빛 갑옷이 절반쯤 걸쳐져 있는 모습을 표현했다.

 이에 앞서 서울시는 거북선이 있던 동상 기단부의 하단에는 가로 세로 3m,2.5m 크기의 대형 발광다이오드(LED) 스크린,기단 옆 광장에는 이 스크린과 연결된 부스형 키오스크(터치 스크린 방식의 정보전달 시스템)를 설치했다.

 서울시는 시민이 키오스크에서 이순신 장군 복장을 무료로 대여해 입을 수 있도록 하고,이들이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하면 LED 스크린을 통해 바로 외부에 표출되도록 할 계획이다.

 시민이 키오스크를 이용하지 않을 때 LED 스크린에는 이순신 장군의 해전과 관련한 애니메이션 등 충무공과 관련된 다양한 영상 자료가 표출된다.

 서울시는 내달 22일 이순신 장군상이 수리를 마치고 다시 광화문 자리로 돌아올 때를 대비해 논의를 거쳐 가림판과 스크린의 이후 활용 방안도 마련할 방침이다.

 김병하 서울시 도시계획국 균형발전추진단장은 “이순신 장군상이 더욱 건강한 모습으로 시민과 만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역사와 첨단이 결합한 LED 스크린 행사에 많은 시민의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소영철 서울시의원, 한국외식업중앙회 마포구지회 12년 이끌고 퇴임…통합·혁신의 리더십으로 외식업계 성장 이끌어

한국외식업중앙회 마포구지회는 지난 2일, 창립 60주년을 맞아 제60회 정기총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총회에서는 지난 2013년부터 12년간 마포구지회를 이끌어온 소영철 지회장의 퇴임식이 함께 진행됐으며, 오랜 기간 외식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공로패가 수여됐다. 이날 행사에는 박강수 마포구청장을 비롯해 조정훈·국회의원, 마포구 시·구의원 및 관내 주요 단체장들이 참석해 축하와 감사의 뜻을 전했다. 소영철 지회장은 지난 2013년, 치열한 경선 끝에 지회장에 취임한 이후, “통합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분열과 갈등을 봉합하고 마포 외식업계를 하나로 이끄는 데 헌신해왔다. 그 결과 2014년에는 창립 50주년 기념식을 성공적으로 개최하고, 마포 외식업 반세기의 역사를 집대성한 기념 서적을 발간하는 등 의미 있는 성과를 남겼다. 특히 소 지회장은 외식업 단체의 재정 자립 기반 마련에 앞장섰다.월세 300만원의 임대사무실에 머물던 상황에서 회원들의 자발적인 기부와 철저한 예산 절감을 통해 장기 상환계획을 세웠고, 2021년 마포구지회 독립 사옥을 완공했다. 이 사례는 서울시 외식업 지회 중에서도 보기 드문 성공적인 자립 사례로, 마포 외식업계의 위
thumbnail - 소영철 서울시의원, 한국외식업중앙회 마포구지회 12년 이끌고 퇴임…통합·혁신의 리더십으로 외식업계 성장 이끌어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