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 2013년까지… 교육·R&D·고용 일원화
교육과학기술부는 기존 산업단지 안에 대학과 대학원을 이전시켜 교육 및 연구개발(R&D), 고용을 일원화하는 ‘선진국형 산업단지 캠퍼스’를 2013년까지 전국 15곳에 조성할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이 산업단지 캠퍼스 프로젝트는 스웨덴의 시스타 사이언스시티와 IT대학의 산학협력 모델을 기반으로 도입됐다. 두 기관은 대학과 기업의 물리적인 공간을 통합시켜, 교육과 고용을 연계하는 방법으로 취업률 100%를 달성해 유럽 등 선진국에서도 성공적인 산학협력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고 교과부는 설명했다.
새로운 형태의 ‘산업단지 캠퍼스’는 산학협력의 개념을 기존 ‘공급자(대학)’에서 ‘수요자(기업)’로 옮긴 것이 특징이다. 대학 교육은 이론과 연구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철저한 현장실습 위주로 이뤄지며, 성과 평가도 논문 같은 연구 실적보다 특허나 기술이전, 상용화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하게 된다. 이처럼 현장 밀착형 산학협력을 정착시키면 인재 육성과 고용 증대를 동시에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교과부는 이를 위해 내년부터 3곳의 적지를 선정, 산단캠퍼스 조성 시범사업(가칭)’을 추진하기로 했다. 여기에는 2015년까지 450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단지 안에 입주하는 시설은 산학융합연구실, 장비지원센터, 산업체 재직자 교육센터, 비즈니스 랩·솔루션센터, 산학협력단처럼 대학과 기업이 필요로 하는 시설 위주로 지정된다. 교과부는 이를 통해 2015년까지 석·박사 950여명을 비롯해 1만 4500여명의 맞춤형 R&D 인력을 배출한다는 계획이다.
교과부는 산업단지 캠퍼스 조성을 위해 이날 학생 정원에 따른 대학부지 설립 요건 기준을 완화하는 내용의 대학설립·운영 규정에 대한 일부개정령안을 입법예고했다. 사업공고는 사업 첫해인 내년 3월에 실시되며, 6월부터 사업 선정 및 지원을 시작할 방침이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0-11-19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