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변종 바이러스 개발 땐 불량국서 즉각 이용할 것”
북한, 알카에다 등 국제사회에서 위험군으로 분류된 국가나 조직들이 ‘스턱스넷(Stuxnet)’ 같은 신종 사이버 무기를 공격 수단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28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재래식 전력으로 강대국을 대적할 수 없는 불량국가나 테러 집단들이 저렴하면서도 새로운 공격 방식을 개발해 표적국에 막대한 경제적 타격을 입히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최근 세계를 떨게 만든 알카에다 아라비아반도지부(AQAP)의 소포 폭탄 테러가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서방 세계 항공망을 마비시키며 순식간에 지구촌에 비상을 거는 데 들인 비용은 단돈 4200달러(약 500만원). 이반 아레긴 토프트 미 보스턴대 정치학 교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1800년 이후 무력이 압도적으로 약한 쪽이 강한 쪽을 이긴 사례는 28% 정도였으나 앞으로는 갈수록 약한 쪽의 승률이 높아질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사회의 골칫덩이이자 ‘약자’로 분류되는 집단의 승률을 높여주는 대표적 신종 무기는 스턱스넷. 공항 등 기간 시설을 파괴하기 위해 특수 제작된 컴퓨터 바이러스로 이란 핵 시설을 공격한 것으로 알려진 스턱스넷은 평소에는 잠복해 있다가 특정 상황에 이르면 ‘파괴’ 명령을 수행한다. 보안 전문가들은 앞으로 몇 개월 안에 해커들이 이미 공개된 스턱스넷 코드를 이용해 변종 바이러스를 만들어 테러 집단 등에 팔아넘길 가능성이 크다는 경고를 잇따라 내놓고 있다. 독일 산업시설 통제 시스템 전문가인 랄프 랑그너는 “스턱스넷은 한마디로 1차 세계대전에 나타난 F35 스텔스 전투기와 같은 존재”라면서 “후속 버전이 암시장에서 100만 달러 이하의 싼 가격에 거래되는 순간 불량 국가, 테러·범죄조직, 해커 등이 즉각 이를 이용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특히 북한은 재래식 전력에서 한국과의 격차를 만회하기 위해 사이버 무기에 더욱 큰 관심을 보일 것으로 지적됐다.
황수정기자 sjh@seoul.co.kr
2010-11-3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