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열 평가원장 “내년은 어렵지 않게”

김성열 평가원장 “내년은 어렵지 않게”

입력 2010-12-07 00:00
수정 2010-12-07 13: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주관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김성열 원장은 7일 “내년에는 학생들이 수능시험을 비교적 어렵게 느끼지 않도록 출제방향을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이날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2011학년도 수능시험 채점 결과를 발표한 뒤 “수능준비를 할 때 공부 범위를 한정해준 면에서는 EBS 연계 효과가 있었다. 문제풀이에 효과가 없었다는 지적은 겸허히 받아들이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박성익 수능채점위원장(서울대 교수)은 “이번 시험은 어렵지도, 쉽지도 않아 이상적이었으며 교육적으로도 매우 적절했다”고 달리 평가했다.

박 위원장은 그 근거로 등급구분 점수가 작년과 재작년 수능의 평균에 해당하고 수리 가형의 4,5등급 구분점수가 작년과 똑같았다는 점 등을 제시했다.

다음은 김 원장과 문답.

--채점위원장은 난이도 조절이 잘 됐다고 했지만 대부분 어렵다는 평이 많다.

▲수리 가는 작년보다 어려운 게 분명히 사실이다. 표준점수 최고점이 올라가고 만점자가 줄었다.

--내년에도 이렇게 어려운 기조를 유지할 건가.

▲왜 어려웠는지 연구팀을 따로 꾸려서 분석하고 의견도 수렴하겠다. 내년에는 학생들이 비교적 어렵지 않게 느끼도록 출제방향을 전환하겠다.

--등급 비율을 바꿀 만큼 난이도에 변화를 줄 수 있다는 뜻인가.

▲만점자가 백분위 점수에서 100점을 받으려면 그 수가 0.9999%로 1% 미만이어야 한다. 난이도 목표는 언수외 만점자를 전체의 1% 미만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수리 가형은 과목의 특성상 그렇게 하면 특정 등급이 사라지는 등급 블랭크가 생길 우려가 있다. 그래서 수리 가는 (난이도를) 좀 다르게 맞출 생각이다. 재작년에는 시험 본 직후엔 기분 나빴다가 성적 통지서를 받고는 기분이 좋아졌고 작년에는 그 반대였다고 하는데 올해는 어떨지 모르겠다.

--영역별로 70% 이상 EBS 교재와 연계했는데 연계 문제와 비연계 문제의 정답률에 차이가 있나.

▲어려운 정도가 골고루 분산됐기 때문에 정답률 분포는 연계, 비연계 문항이 비슷하다.

--언수외 영역에서 어려운 문항은 어떤 것이었나.

▲언어는 표현에 대한 심층 이해, 작품의 종합적 단상, 높은 수준의 추론 문항이고 수리에서는 이차곡선, 벡터, 미적분, 로그 등의 정답률이 낮았다. 외국어는 글의 흐름과 관계없는 문항찾기, 주제·빈칸 추론 등이 어려웠다.

--올해 수능은 어렵게 내서 변별력을 높인다는 목적을 이룬 것인가.

▲수능의 목표는 최상위권을 변별해내는 게 아니다. 그건 대학이 입학사정관 전형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수능은 그 아래 등급을 변별하려는 것이다.

--제2외국 영역에 ‘로또 아랍어’라는 말이 여전한데.

▲올해는 아랍어의 표준점수 최고점이 90점으로 낮아졌다. 아랍어과를 가르치는 학교는 없지만 EBS 강의를 제공하면서 실제로 아랍어를 공부하고 시험 보는 학생이 그만큼 늘었다.

--수능 부담이 더 커지고 사교육도 성행하는 것 아니냐.

▲수능 준비를 할 때 공부 범위를 한정해준 것은 EBS 연계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문제풀이에서 그렇지 않았다는 비판은 겸허히 받아들이겠다. EBS 강의에서 문제풀이보다 기본개념과 원리를 이해하도록 하는 쪽을 강화하고 교재에 그런 내용도 추가하도록 협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