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의 구제역 사태가 발생 10일을 넘기면서 북부권에 이어 동해안권까지 넘어가 확산일로를 걷는 형국이다.
지난달 29일 안동서 발생한 구제역은 국내 대표적 한우 산지인 ‘영주-안동 벨트’를 포함해 경북 북부권 5개 시·군의 축산농가를 휩쓴데 이어 9일 동해안권 영덕까지 넘어갔다.
이에 따라 구제역 발생지역은 모두 6개 시·군으로 늘어났고 발생건수는 31건으로 집계됐다.
방역당국은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해 살처분과 소독 등을 시행하고 있으나 지역에서는 축산업 기반이 붕괴될지 모른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톨게이트부터 소독작업 구제역이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방역당국이 6일 경부고속도로 북대구 톨게이트에서 대구로 들어오는 차량을 대상으로 소독작업을 하고 있다.
대구 연합뉴스
◇경북 북부권 초토화
이번 구제역은 경북 안동시 와룡면 양돈단지에서 발견된 의심 돼지가 양성 판정을 받으면서 시작됐다.
이어 지난 5일 초기 발생지로부터 21㎞ 떨어진 경북 예천의 한우농가,지난 7일 26㎞ 떨어진 경북 영양의 한우농가에서 구제역이 각각 확인됐다.
사태는 그치지 않고 지난 8일 이들 지역과 맞닿은 경북 영주,봉화에서도 구제역이 잇따라 발생해 피해지역은 경북 북부권 5개 시·군으로 늘어났다.
여기에다 초기 발생지로부터 60여㎞ 떨어진 경북 동해안권 영덕의 한우농가에서 구제역이 추가로 발생함에 따라 축산농가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다행히 전날 의심신고가 들어온 경주의 한우농가 의심신고는 음성 판정이 났지만 영덕의 한우농가 2곳을 포함한 의심신고가 계속 접수되고 있다.
◇살처분 가축 시료서 ‘양성’ 판정
봉화.영주의 구제역은 지금까지 의심증상을 보인 가축을 검사해 양성 판정한 것과 달리 확산방지를 위해 예방적 차원에서 살처분한 가축 시료의 검사결과라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봉화의 한우농장은 구제역 사태가 본격화되기 이전인 지난달 25일 안동 위험지역 내 한우농가에서 소를 매입해 입식했고 영주 농장은 지난달 27일 안동의 구제역 발생농장에서 한우를 사온 것으로 알려졌다.
방역망이 본격 구축되기 전에 가축이 매매되면서 구제역 바이러스가 무차별적으로 확산됐을 개연성이 제기된 것이다.
방역당국은 봉화와 영주의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해 반경 500m 이내 모든 우제류(소,돼지,사슴 따위 발굽이 두개인 동물) 가축을 살처분하고 농가 소독을 실시했다.
◇방역당국.지자체 ‘차단방역’
방역당국은 구제역 감염 돼지에 대해 발생지로부터 반경 3㎞ 이내,소는 반경 500m 이내 위험지역에서 기르는 모든 우제류 가축을 살처분키로 했다.
구제역 발생 초기 2만3천여마리였던 살처분 대상 가축은 9일 오전 현재 10만9천여마리로 4.7배나 늘었다.
당국은 지금까지 8만8천여마리의 살처분 및 매몰작업을 마쳐 80.7%의 추진율을 기록했으나 영덕 한우농가의 양성 판정에 따라 대상가축이 더욱 늘게 됐다.
그러나 지난달 26일 피해 농장주로부터 폐사 가축 신고를 받고 이틀 지나서야 시료채취를 실시하는 등 초기 대응에 미흡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또 구제역이 발생한 안동 양돈농장주가 다른 축산인들과 함께 지난달 초 구제역 발생국으로 분류된 베트남 여행을 다녀오는 등 구제역 빈발지역의 여행자 관리에도 허점이 드러났다.
구제역 사태와 관련해 해외여행을 다녀온 축산농이나 여행객이 국내 입국시 철저한 검역을 받도록 하는 법률안이 발의됐지만 국회에 계류 중인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축산농가 “근본적 대책” 요구
지역의 축산농민들은 “구제역 사태가 하루빨리 해결돼 안정을 찾았으면 좋겠다”며 “당국은 일이 터졌을 때 땜질식 처방이 아니라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 구제역대책본부는 “구제역 발생지역 내 살처분을 하면서 이동통제초소를 추가 설치해 확산을 막고 있다”면서 “피해 농가에 살처분 보상금 총액의 50%를 먼저 지급하고 발생농장 역학 관련 농가를 파악해 방역조치를 취하는 중”이라고 했다.
연합뉴스
지난달 29일 안동서 발생한 구제역은 국내 대표적 한우 산지인 ‘영주-안동 벨트’를 포함해 경북 북부권 5개 시·군의 축산농가를 휩쓴데 이어 9일 동해안권 영덕까지 넘어갔다.
이에 따라 구제역 발생지역은 모두 6개 시·군으로 늘어났고 발생건수는 31건으로 집계됐다.
방역당국은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해 살처분과 소독 등을 시행하고 있으나 지역에서는 축산업 기반이 붕괴될지 모른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대구 연합뉴스
톨게이트부터 소독작업
구제역이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방역당국이 6일 경부고속도로 북대구 톨게이트에서 대구로 들어오는 차량을 대상으로 소독작업을 하고 있다.
대구 연합뉴스
대구 연합뉴스
◇경북 북부권 초토화
이번 구제역은 경북 안동시 와룡면 양돈단지에서 발견된 의심 돼지가 양성 판정을 받으면서 시작됐다.
이어 지난 5일 초기 발생지로부터 21㎞ 떨어진 경북 예천의 한우농가,지난 7일 26㎞ 떨어진 경북 영양의 한우농가에서 구제역이 각각 확인됐다.
사태는 그치지 않고 지난 8일 이들 지역과 맞닿은 경북 영주,봉화에서도 구제역이 잇따라 발생해 피해지역은 경북 북부권 5개 시·군으로 늘어났다.
여기에다 초기 발생지로부터 60여㎞ 떨어진 경북 동해안권 영덕의 한우농가에서 구제역이 추가로 발생함에 따라 축산농가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다행히 전날 의심신고가 들어온 경주의 한우농가 의심신고는 음성 판정이 났지만 영덕의 한우농가 2곳을 포함한 의심신고가 계속 접수되고 있다.
◇살처분 가축 시료서 ‘양성’ 판정
봉화.영주의 구제역은 지금까지 의심증상을 보인 가축을 검사해 양성 판정한 것과 달리 확산방지를 위해 예방적 차원에서 살처분한 가축 시료의 검사결과라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봉화의 한우농장은 구제역 사태가 본격화되기 이전인 지난달 25일 안동 위험지역 내 한우농가에서 소를 매입해 입식했고 영주 농장은 지난달 27일 안동의 구제역 발생농장에서 한우를 사온 것으로 알려졌다.
방역망이 본격 구축되기 전에 가축이 매매되면서 구제역 바이러스가 무차별적으로 확산됐을 개연성이 제기된 것이다.
방역당국은 봉화와 영주의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해 반경 500m 이내 모든 우제류(소,돼지,사슴 따위 발굽이 두개인 동물) 가축을 살처분하고 농가 소독을 실시했다.
◇방역당국.지자체 ‘차단방역’
방역당국은 구제역 감염 돼지에 대해 발생지로부터 반경 3㎞ 이내,소는 반경 500m 이내 위험지역에서 기르는 모든 우제류 가축을 살처분키로 했다.
구제역 발생 초기 2만3천여마리였던 살처분 대상 가축은 9일 오전 현재 10만9천여마리로 4.7배나 늘었다.
당국은 지금까지 8만8천여마리의 살처분 및 매몰작업을 마쳐 80.7%의 추진율을 기록했으나 영덕 한우농가의 양성 판정에 따라 대상가축이 더욱 늘게 됐다.
그러나 지난달 26일 피해 농장주로부터 폐사 가축 신고를 받고 이틀 지나서야 시료채취를 실시하는 등 초기 대응에 미흡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또 구제역이 발생한 안동 양돈농장주가 다른 축산인들과 함께 지난달 초 구제역 발생국으로 분류된 베트남 여행을 다녀오는 등 구제역 빈발지역의 여행자 관리에도 허점이 드러났다.
구제역 사태와 관련해 해외여행을 다녀온 축산농이나 여행객이 국내 입국시 철저한 검역을 받도록 하는 법률안이 발의됐지만 국회에 계류 중인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축산농가 “근본적 대책” 요구
지역의 축산농민들은 “구제역 사태가 하루빨리 해결돼 안정을 찾았으면 좋겠다”며 “당국은 일이 터졌을 때 땜질식 처방이 아니라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 구제역대책본부는 “구제역 발생지역 내 살처분을 하면서 이동통제초소를 추가 설치해 확산을 막고 있다”면서 “피해 농가에 살처분 보상금 총액의 50%를 먼저 지급하고 발생농장 역학 관련 농가를 파악해 방역조치를 취하는 중”이라고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