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고양시에서 구제역이 추가로 발생해 유동인구가 많은 서울 턱밑까지 근접하는 등 대도시로의 구제역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20일 경기도 구제역 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고양시 중산동과 성석동 한우농장 2곳에서 구제역이 추가로 확진됐다.
이미지 확대
20일 구제역이 발생한 경기 고양시 성석동 한우농장에서 방역대책본부 관계자들이 가축을 살처분하고 있다.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0일 구제역이 발생한 경기 고양시 성석동 한우농장에서 방역대책본부 관계자들이 가축을 살처분하고 있다.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고양시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것은 처음이다. 이 농장은 한우 150마리를 키우고 있는 곳이다. 지난 19일 일부 소들이 식욕 부진과 침을 흘리는 구제역 의심 증상을 보여 농장주가 신고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로 인해 지난 14일 양주와 연천 돼지농가에서 발생한 경기도권 구제역은 15일 파주시 파주읍 부곡리 젖소농가, 18일 교화읍 신남리 한우농가에 이어 고양시까지 모두 6개 농가로 늘어났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특히 고양시 한우농가는 유동인구가 많은 일산 신도시에 근접해 있는 데다 서울과는 불과 수십㎞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으로 방역에 실패할 경우 구제역이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어 방역 당국이 비상 사태에 돌입했다.
서울 등 한강 이남으로 가축이 이동하는 경우는 많지 않지만 인구 및 차량 통행이 많아 차단방역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게다가 이번 구제역이 특정 가축이 아니라 한우와 젖소, 돼지 등 각종 가축에서 발생하고, 지역도 한정되지 않은 채 위험반경을 벗어나 산발적으로 일어나고 있어 방역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날 오전 구제역이 발생했던 파주시 광탄면 방축리 한우농장과 양주시 은현면 도하리 돼지농장에서 각각 구제역 의심신고가 접수됐다.
이로 인해 한해 두번 이상 구제역과 악연을 맺게 된 경기북부 축산농가들이 이번 일을 계기로 가축사육을 포기하는 사례도 늘고 있어 구제역 확산 양상이 사그라지지 않을 경우 경기북부 축산산업의 붕괴마저 우려되고 있다. 방역당국은 현재 고양시 한우 200마리를 비롯해 3만 141마리의 소와 돼지를 살처분했으며 앞으로 5000여마리에 대한 살처분을 진행할 계획이다.
또 구제역의 추가 확산 우려가 커짐에 따라 현재 발생지역에서 가동 중인 129개의 방역초소 외에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은 안성과 평택, 화성, 김포, 시흥, 부천 지역에도 통제초소를 설치해 운영하도록 해당 시·군에 지시했다.
방역대책본부 관계자는 “경기 북부에서 발생한 구제역은 경북 구제역에 비해 확산 속도가 느리다.”면서도 “인력과 방역 초소를 추가로 설치하는 등 방역활동을 강화하고 있어 이번 주를 넘겨봐야 정확한 상황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장충식기자 jjang@seoul.co.kr
2010-12-2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