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 서울 홍릉수목원에 일찌감치 새봄을 알린다는 ‘복수초’가 활짝 폈다. 지난해 봄보다 1주일 가량 빠르다.
이미지 확대
복수초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복수초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복수초는 복(福)과 장수(長壽)의 뜻이 담겨 있고, 눈이나 얼음 속에서 핀다 해서 ‘설연화(雪蓮花)’ ‘빙리화(氷里花)’라 불린다. 새해 원단에 꽃이 피어 ‘원일초(元日草)’란 이름도 붙여졌다. ‘영원한 행복’이란 꽃말을 가지고 있어 일본에서는 새해에 장수를 기원하며 복수초를 선물하기도 한다.
그러나 자신의 모습을 쉽게 드러내지 않는다. 이른 아침에는 꽃잎을 닫고 있다가 일출과 함께 꽃잎을 펴기 시작해 오전 11시쯤에야 제 모습을 온전히 보여준다. 오후에도 3시가 지나면 꽃잎을 오므린다.
서양에서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의 연인인 ‘아도니스’로 불리는데, 아도니스는 사냥터에서 멧돼지에 받혀 피를 흘리며 죽었고 그 자리에서 복수초가 피어났다. 꽃말도 ‘슬픈 추억’이다.
산림과학원 관계자는 18일 “복수초는 씨앗이 싹을 틔우고 6년 가량 지나야 꽃을 피울 수 있다.”면서 “여리고 예쁘기만 한 노란 복수초는 인고의 시간을 견뎌낸 결과”라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