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 50만번째 졸업생 주부 박희은씨
“다른 학우들처럼 수업을 열심히 들은 것밖에 없는데 이런 행운을 안게 돼 많이 쑥스럽네요. 오랫동안 이 기쁨을 간직하며 열심히 살고 싶습니다.”
그는 고교 졸업 후 결혼해 아이를 기르다 뒤늦게 진학을 결심했다. 2007년 외아들이 유치원에 들어가 육아 부담이 줄어들자 바로 방통대 원서를 냈다. 박씨는 “외동아들에 ‘올인’하지 않고 자립심을 가진 아이로 키우려면 엄마가 아무래도 자기만의 일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했다.”면서 “고교 학력으로 직업을 구할 때 제약이 크다는 점도 결심을 굳힌 계기였다.”고 말했다.
처음에는 학업을 제대로 끝낼 수 있을지 걱정이 커 시댁에 방통대 입학 사실조차 숨겼다. 하지만 초등학교에 입학한 아들과 ‘점수 잘 받기’ 내기를 하며 공부에 빠져 학점도 100점 기준으로 90점을 넘겼다.
박씨는 꿈인 청소년 상담사가 되기 위해 졸업한 뒤에도 청소년상담사 3급 자격증 시험을 준비할 계획이다. 또 숙명여대 평생교육원에서 1년 동안 아동 미술심리 치료사 강의를 들을 예정이다. 그는 “만학도라는 말을 듣지만 방통대에서는 ‘젊은 피’에 속해 오히려 용기를 얻었다.”면서 “자신의 위치에서 적극적으로 길을 찾다 보면 뜻밖에 생각지 못했던 길을 찾을 수도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11-02-2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