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내년 9월부터 낚시를 할 수 없는 낚시통제구역이 지정된다. 일부 물고기 종류에 대해서는 잡을 수 있는 마릿수와 크기, 잡는 방법 등이 제한된다. 납추 등 중금속으로 만들어져 환경오염이 우려되는 낚시도구와 미끼는 사용과 판매가 금지된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지난달 18일 건전한 낚시문화 정착과 낚시산업 발전을 위한 ‘낚시 관리 및 육성법’(낚시법)이 국회에서 원안대로 의결됐다고 1일 밝혔다. 각 지방자치단체장은 수산자원 보호와 낚시인 안전사고 예방 등을 위해 일정 지역을 낚시통제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환경오염 등을 유발하는 유해 낚시도구를 쓰거나 팔 목적으로 제조·수입·저장 또는 운반하거나 진열할 수 없다. 미끼 종류별로 특정 물질의 함량 기준을 설정하고 부적합한 미끼는 회수하거나 폐기할 수 있다. .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농림수산식품부는 지난달 18일 건전한 낚시문화 정착과 낚시산업 발전을 위한 ‘낚시 관리 및 육성법’(낚시법)이 국회에서 원안대로 의결됐다고 1일 밝혔다. 각 지방자치단체장은 수산자원 보호와 낚시인 안전사고 예방 등을 위해 일정 지역을 낚시통제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환경오염 등을 유발하는 유해 낚시도구를 쓰거나 팔 목적으로 제조·수입·저장 또는 운반하거나 진열할 수 없다. 미끼 종류별로 특정 물질의 함량 기준을 설정하고 부적합한 미끼는 회수하거나 폐기할 수 있다. .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1-03-0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