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방사능 해류 한국 확산도 어려워”

“日방사능 해류 한국 확산도 어려워”

입력 2011-03-16 00:00
수정 2011-03-16 15: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문가 “막연한 불안보다 차분한 대비 필요”

일본 후쿠시마(福島) 원자력발전소의 연쇄 폭발 등으로 ‘방사능 공포’가 확산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해류를 통한 방사성 물질의 한반도 확산 가능성은 극히 낮은 것으로 16일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후쿠시마 원전 상황이 예측 불허 상태로 가고 있지만 막연한 불안보다 차분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조양기 교수는 이날 전화 통화에서 “일본 원전 사고가 발생한 북동부 지역의 위치상 한반도에 해류를 통해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못할 것”이라며 “방사성 물질이 바다를 통해 우리나라까지 올 수 있다는 것은 지나친 걱정”이라고 말했다.

조 교수는 “일본 동해에 흐르는 쿠로시오 해류는 태평양 쪽으로 순환한다”며 “오염 물질이 있다해도 이 해류를 타고 한반도까지 흘러드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20년전 러시아가 동해 근해에 핵폐기물을 투기했을 때 상황이 매우 심각했지만 우려했던 큰 피해가 없었던 것도 이런 해류의 흐름 덕이었다”고 덧붙였다.

구 소련과 러시아 해군은 1992년까지 러시아 근해 10개 지역에서 핵폐기물 액체 12만3천497㎥와 고체 폐기물 2만1천842㎥를 버렸으며, 투기지역 가운데 5곳은 한반도 동해와 가까운 블라디보스토크 근해(동경 132도 북위40도)에 집중돼 있었다.

쿠로시오 해류는 필리핀 동해→타이완 해안→동중국해→일본 오키나와해안→도쿄만→태평양 등 경로를 시계방향으로 흐른다. 일부는 오키나와 서쪽에서 갈라져 한반도 동해안과 일본 서해안으로 움직인다.

기상청 관계자도 “쿠로시오 해류는 연중 내내 같은 경로로 흐르기 때문에 일본 동해안 오염 물질이 한반도에 영향을 주기는 어렵다”며 “동해안과 일본 서해안으로 흐르는 부분도 전체의 10%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쿠로시오 해류가 일본 동해에서 한반도까지 오는데는 최소 1년 가량이 걸리고, ‘기나긴 여행’과정에서 오염 물질이 침전되거나 희석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 원전에서 냉각수로 사용한 바닷물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고 방출하거나 공기 중으로 치솟았던 방사성 물질이 낙진 형태로 떨어져 해양오염이 발생할 경우에도 한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는 어렵다는 얘기다.

한반도 상공 편서풍으로 바람에 의한 방사성 물질 피해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에 이은 이런 진단은 일본발(發) 방사능 공포가 당장 현실로 드러날 가능성은 크지 않음을 말해준다.

전문가들은 일본 원전사태가 더 심각해지고 있고 방사성 물질이 바다를 오염시킬 경우 시차를 두고 간접적인 피해를 줄 가능성이 있어 방심할 수는 없지만 지나친 우려보다는 차분한 대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