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중ㆍ고교 저소득층 급식 확대

서울시, 중ㆍ고교 저소득층 급식 확대

입력 2011-04-03 00:00
수정 2011-04-03 15: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해 서울지역 중ㆍ고등학교 저소득층의 무상급식 지원대상 범위가 소득하위 18%까지 확대되고 공ㆍ사립 유치원의 시설개선비 등도 지원된다.

서울시는 올해 총 753억여원(법정전출금 별도)의 예산을 들여 시내 초ㆍ중ㆍ고등학교의 시설을 개선하고 각종 교육사업을 지원하는 내용의 ‘2011년도 교육지원기본계획’을 수립해 공고했다고 3일 밝혔다.

이같은 예산 규모는 지난해 514억원과 비교해 절반 가까이(46%) 늘어난 것이다.

계획에 따르면 올해 ‘폭력없고 안전한 학교환경 구축 지원’, ‘사교육 부담 경감 및 자기주도 학습 정착지원 확대’, ‘학교급별 수요에 맞는 사업 추진’ 등을 기본방향으로 정해 총 4개 분야의 22개 사업을 추진한다.

4개 신규사업에 307억원이, 18개 계속사업에 446억원이 투입되며 지원대상은 시내 1천303개 초ㆍ중ㆍ고교 및 866개 공ㆍ사립 유치원이다.

서울시는 우선 지난해 기준 교육청이 중ㆍ고교 소득하위 13% 이하에게 제공했던 저소득층 무상급식을 올해 약 163억원을 투입해 평균 18% 이하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중학교는 소득기준 11%에서 16%로, 고등학교는 16%에서 21%로 대상 범위가 확대되며, 인원수로는 총 3만4천여명이 늘어난다.

다만 서울시는 시교육청이 지난해 지원 수준 이상의 지원계획을 수립하고 예산을 확보하는 것을 전제로 예산을 추가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지원 대상 폭을 연차적으로 늘려 내년은 소득하위 평균 23%, 2013년 28%, 2014년 3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아울러 안전하고 학습 친화적인 환경에서 유아가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공ㆍ사립 유치원 866곳에 시설환경개선비 59억원을 지원한다.

서울시는 특히 상대적으로 교사 처우가 열악한 사립유치원에 운영비로 교사 1인당 11만원꼴인 총 6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현재 상담사가 없는 279개 중ㆍ고교에 학교폭력, 집단 따돌림, 입시 스트레스 관련 상담을 맡을 전문심리상담사를 배치하고, 22개 초ㆍ중등학교에는 스포츠강사 배치비 및 악기 구입비를 시범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중ㆍ고교 자기주도학습실 조성(16억원), 초등학교 세면시설 설치(14억원), 방과후 공부방 지원(46억원), 방과후학교 활성화 지원(73억원), 자기주도학습 지원(26억원) 등의 사업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지속적으로 추진키로 했다.

서울시는 자기주도학습실 조성 등 9개 사업의 대상학교 선정 때 기준재정 수요 충족도가 낮은 4개 자치구의 선정된 학교수가 상위 4개구의 2.6배에 달하는 등 취약 지역에 집중 지원토록 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이번 계획과 관련해 지난해 말 시의회가 일방적으로 증액한 일부 예산은 반영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계획 수립으로 ‘3무(無)학교’ 등 서울시의 교육지원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이달부터 전출금이 본격 투입되면 교육청과의 협력 사업이 보다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최진혁 서울시의원 “노후 임대주택 특성에 맞는 화재 예방·대응 방안 필요”…가양4단지 화재대응 훈련 참석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최진혁 의원(국민의힘, 강서구 제3선거구)은 지난 16일 강서구 가양4단지에서 실시된 화재 대응 합동훈련 현장을 찾아, 입주민의 재난 대응 역량을 높이고 노후 임대주택의 화재 안전을 강화하는 실질적 대책 마련을 강조했다.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와 강서소방서가 공동으로 주관한 이번 훈련은 지난 6월 체결된 ‘노후 임대주택 화재안전 강화 업무협약(MOU)’의 후속 조치로 진행됐다. 가양4단지는 1992년에 준공된 영구임대 아파트로, 총 12동 1998세대 규모이며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아 화재 대응에 취약한 단지로 꼽혀왔다. 이날 훈련은 실제 화재 발생 상황을 가정해 119 신고, 옥내 소화전 활용 초기 진압, 입주민 대피 유도, 소방차 현장 출동, 사다리차를 이용한 고층 인명 구조, 심폐소생술(AED) 시연 등 실전형 훈련으로 구성됐다. 최 의원은 그간 노후 임대단지 화재 예방과 대응 시스템 개선을 지속적으로 촉구해왔다. 지난해 방화11단지와 가양4단지, 올해 봉천우성아파트 등에서 발생한 화재를 계기로 “단순한 시설 점검을 넘어서 초기대응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저장 강박, 정신적 취약계층, 이동 취약계층 등에
thumbnail - 최진혁 서울시의원 “노후 임대주택 특성에 맞는 화재 예방·대응 방안 필요”…가양4단지 화재대응 훈련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