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호텔 “한복은 위험한 옷”…손님 출입 거부

신라호텔 “한복은 위험한 옷”…손님 출입 거부

입력 2011-04-13 00:00
수정 2011-04-13 14: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라호텔이 한복을 입은 손님의 출입을 거부해 논란이 일고 있다.

13일 일부 인터넷 포털사이트 게시판에 올라온 글과 호텔 측에 따르면 한복 디자이너 이혜순씨는 12일 저녁 신라호텔의 뷔페 레스토랑 ‘파크뷰’에 들어가려다 한복을 입었다는 이유로 호텔 직원으로부터 제지를 당했다.

이씨의 지인이라고 자신을 밝힌 한 트위터 이용자는 이러한 내용을 전하며 당시 호텔 직원이 “한복은 위험한 옷이다. 부피감이 있어 다른 사람들을 훼방할 수 있다”며 이유를 댔다고 전했다.

이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전통을 존중한다는 신라호텔이 한복을 입고 식당에 못 들어가게 하다니, 대체 어느 나라 호텔이냐”면서 분통을 터뜨렸다.

비판여론이 확산되자 신라호텔은 이날 오후 임직원 일동 명의로 “물의를 일으켜 정중히 머리숙여 사과드린다”는 사과문을 보도자료를 통해 배포했다.

신라호텔은 “음식을 직접 가져다 먹어야 하는 뷔페의 특성때문에 지난해부터 한복을 입은 고객에게 일일이 (불편이 생길 수 있다는) 안내를 해주는 상황”이라며 “이런 조치는 다른 고객이 한복에 걸려 넘어지거나 한복을 밟히는 등 고객간 불만사항이 생겼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신라호텔은 “식당 입장전에 한복을 입은 고객에게 관련 내용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했으나 직원의 착오로 미숙하게 안내됐다”며 “조속히 시정하겠다”고 해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