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임 문제 등 대립했던 서총장과는 껄끄러워
지난해 8월 31일, 전날 임명된 신임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취임 다음 날 첫 행선지로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을 찾았다. 이 장관은 학교장 추천을 받아 입학사정관제로 뽑힌 150명 가운데 26명의 학생들을 따로 만났다. 이후에도 이 장관은 입학사정관제도를 설명할 때면 ‘카이스트의 우수 사례’를 빠뜨리지 않고 단골 메뉴로 꺼내들었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하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이 장관 등 교과부가 그동안 카이스트를 칭찬했을지언정 서 총장, 특히 연임한 서 총장은 반기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과부는 지난해 내놓고 서 총장의 연임에 반대했다. 공식적으로야 부인하지만 이사회 등에서 서 총장 연임이 적절치 않다는 의사를 직간접적으로 흘렸다.
그러나 교과부의 의중을 알아채고 스스로 물러날 줄 알았던 서 총장은 오히려 정부가 총장 연임에 개입하고 있다면서 반발했다. 교과부는 이사회 정관을 개정해서라도 서 총장의 연임을 막으려 했지만 ‘정부 개입’이라는 부메랑을 맞고 주춤할 수밖에 없었고, 결국 이사회는 서 총장 연임을 결정하고 말았다. 일부에서는 이를 놓고 ‘교과부의 굴욕’이라고 빗대기도 했다. 당시 교과부가 서 총장 연임을 한사코 반대했던 이유는 지금도 문제가 되고 있는 서 총장의 ‘독선적인 학교 운영 방식’이었다. 교과부는 “서 총장이 성과를 내고 있지만 독선적인 학교 운영으로 학내 불만이 커지고 있다. 이사회도 서 총장에게 제동을 걸지 못한다.”며 볼멘소리를 해 댔다.
결국 이 장관이 취임 첫 행선지로 카이스트를 택했던 것은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애착과 함께 불과 한달 전까지 재신임 문제로 껄끄러웠던 서 총장과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일종의 화해 제스처였던 셈이다. 하지만 이후에도 교과부와 카이스트의 관계는 개선되지 않았다. 올 초 4년 만에 있었던 교과부의 카이스트 감사를 두고도 교과부는 “4년 만의 정기 감사”라고 설명했지만 카이스트 쪽에서는 “연임한 서 총장의 꼬투리를 잡으려는 것”이라며 의혹의 시선을 보내기도 했다.
이런 정황을 감안하면 최근 이 장관의 우회적인 ‘서 총장 때리기’가 어느 정도 설명이 된다. 내심 “이럴 줄 알았다.”고 하고 싶지만 서 총장의 개혁 방향이 MB정부의 교육 철학과도 맞닿아 있어 어설픈 변죽만 울리고 있는 것이다. 전날 교과위에서 야당 의원들은 “카이스트 사태는 결국 경쟁만 강요하는 이 정권의 교육정책 때문 아니냐.”면서 “이 장관이 책임져야 한다.”고 공격했다.
정부로서는 마음에 들지 않지만 그렇다고 당장 내칠 수도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당분간 서 총장과 거리를 두면서 카이스트 사태가 ‘MB식 교육정책의 난맥’으로 비화되는 것을 막으려 할 것으로 보인다. 한 교육 관계자는 “당장 해임하기보다 우선 급한 불을 끈 뒤 사태가 진정되면 그때 서 총장 거취를 논의하는 것이 서로 윈윈 하는 방법 아니겠느냐.”고 전망했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11-04-14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