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원하는 교육을 시키려 애썼어요”

“아이가 원하는 교육을 시키려 애썼어요”

입력 2011-04-18 00:00
수정 2011-04-18 0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계적 더블베이스 연주자 성민제 어머니 최인자씨

“재능을 미리 발견해 길을 열어 준다는 점에서 영재교육이 무조건 나쁘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이미지 확대
세계적 더블베이스 연주자 성민제 어머니 최인자씨
세계적 더블베이스 연주자 성민제 어머니 최인자씨
2006년 독일 슈페르거 국제콩쿠르 최연소 우승에 이어 이듬해 러시아 쿠세비츠키 국제콩쿠르에서 우승, 세계 음악계를 깜짝 놀라게 한 더블베이스(콘트라베이스) 연주자 성민제(22)씨. 자식을 영재로 키우는 비결을 묻자 어머니 최인자(49)씨는 이렇게 답했다. 민제씨가 서울 광진구 홍보대사로 위촉돼 구청을 방문하고 돌아오는 길이었다.

바이올린도, 첼로도 아닌 하필이면 왜 일반인에게 다소 낯선, 독주회를 하기엔 부적합한 악기인 더블베이스를 가르치게 됐는지 묻자 “현악기 중 가장 저음을 내는 악기지만 인간이 악기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면 있을수록 소리를 더 잘 들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특이한 악기”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더블베이스는 무게만 무려 15㎏에 달하는 ‘몸집 좋은 녀석’이다. 최씨는 “악기를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었던 집안 분위기가 컸다.”고 말했다. 민제씨의 아버지(성영석·서울시립교향악단 소속)도, 동생(미경·2010년 제6회 요한 마티아스 슈페르거 국제 더블베이스 콩쿠르 우승)도 모두 같은 악기 연주자다.

●학벌보다 인성 더 중요하다 생각

최씨는 “다른 애들처럼 처음엔 태권도 등 이것저것 다 가르쳐 봤어요. 공부보다 재능과 소질을 계발하려고 노력했죠.”라면서 “부모가 원하는 아이를 키우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원하는 교육을 시키려고 애썼어요. 바로 그 점이 중요한 것 같아요.”라며 웃었다. 이어 “민제가 악기를 처음 잡은 초등학교 4학년 때 키가 작아 의자 위에 방석을, 그것도 모자라 사전까지 올려놨다.”며 조기 교육의 열정을 떠올렸다. 언제 싹수(?)를 보였을까. 최씨는 “초등학교 6학년 때였다.”면서 “그때 독일에서 한달 보름 동안 레슨을 받았는데 마치 스펀지가 물을 빨아들이듯 가르치는 족족 빨아들이더라.”고 회상했다.

●줄리아드 러브콜도 뿌리쳐

민제씨는 선화예중을 졸업하고 바로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입학했다. 16세에 고교과정 없이 대학에 입학한 것이다. 줄리아드의 ‘러브콜’을 뿌리친 건 최씨 부부가 ‘학벌’보다는 ‘인성’이 더 중요하다고 여겼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아들에게도 좌절은 있었다. 2009년 9월 뮌헨 콩쿠르 1차에서 탈락했다. 그러나 최씨는 “또래들에 비해 경험이 적은 게 걱정이지만 기교보다는 관중의 마음을 울리는 연주를 위해서라면 한번 실패쯤은 되레 약이 될 수 있지 않겠느냐.”고 담담하게 말했다. 독일 뮌헨음대 최고 연주자 과정을 밟고 있는 민제씨는 내년 3월 29일 사라 장(장영주), 장한나 등이 거쳐간 루브르박물관 독주회를 앞두고 있다.

고광민 서울시의원, 동덕여고 정책제안 간담회 참석

서울시의회 고광민 의원(국민의힘, 서초3)은 지난 11일 서초구 동덕여자고등학교에서 열린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제안 간담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동덕여고 학생들이 참여하는 진로탐구아카데미 활동의 하나로, 학생들이 지역과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고민하고 직접 정책을 제안하는 자리이다. 고 의원은 매년 간담회에 빠짐없이 참석해 학생들의 발표를 경청하고 조언을 전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총 8개 팀이 참여해 ▲AI 기반 배수로 감지 시스템 ▲문학치료를 통한 정신건강 증진 ▲에너지 자립 및 재활용 방안 ▲폐의약품 관리 ▲스마트 분리수거 ▲골목상권 활성화 ▲생활권 도시숲 관리 ▲경로당 냉난방비 및 복지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발표했다. 고 의원은 학생들의 발표를 꼼꼼히 메모하며 경청한 후 “동덕여고의 발표 수준은 고등학생 수준으로 보기 힘들 정도로 깊이가 있다”라며 “정책적 문제의식과 해결방안을 고민한 점에 감탄했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어 고 의원은 각각의 발표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며 “정책을 실행할 때는 실현 가능성과 예산 문제, 비용 대비 편익까지 고려해야 한다”며 학생들이 더 넓은 시야로 정책을 바라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
thumbnail - 고광민 서울시의원, 동덕여고 정책제안 간담회 참석

강동삼기자 kangtong@seoul.co.kr
2011-04-1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