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군수 “국제기구 등 제3자 안전평가 해야”
원자력 안전규제 당국이 부산 기장군 장안읍 고리원자력발전소 원자력1호기에 대해 6일 재가동을 공식 승인하자 환경단체가 정부의 발표를 규탄하는 집회를 가지는 등 강력 반발하고 있다.반면 원전 주변 주민들은 “고리1호기는 어차피 재가동할 것으로 알고 있었다”며 무덤덤한 표정이어서 대조를 이뤘다.
반핵부산시민대책위원회와 수명연장반대 울산시민행동 등 부산.울산지역 시민환경단체는 이날 오후 고리원자력본부 앞에서 고리1호기 재가동 반대집회를 가졌다.
이들은 “설계수명 30년이 지난 고리1호기에 대해 정부가 정밀안전진단을 했지만 그 결과를 전혀 신뢰할 수 없다”면서 “지금이라도 고리1호기의 안전과 관련해 객관성과 신뢰성을 갖추려면 시민단체가 추천하는 전문가를 포함한 안전점검을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최수영 부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정부가 징검다리 연휴 기간에 고리1호기의 재가동을 승인하고 국내 21기의 원전안전진단 결과를 발표하는 것은 노후원전에 대한 비판여론을 희석시키려는 물타기용으로 밖에 볼 수 없다”면서 “재가동 결론을 내 놓고 짜맞추기한 느낌”이라고 비판했다.
고리1호기 폐쇄를 요구하면서 12일간 단식농성을 벌인 김광모 해운대구의원(진보신당)은 “고리1호기 재가동 결정은 핵발전소의 폐쇄를 둘러싼 싸움이 단기적으로 끝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 것을 다시한번 일깨워줬다”면서 “우선 인터넷에서 시작한 고리1호기 폐쇄를 위한 주민 서명운동을 확대해 거리에서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고리원전 주변 주민들은 고리1호기 재가동 결정 소식에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고가 발생했을 때 ‘남의 일이 아니다’며 우려와 걱정스러운 분위기를 보였던 원전 주변 주민들은 평상시와 다름없는 모습을 보였다.
기장군 장안읍 길천리에 사는 김모(51)씨는 “과거에도 고리원전에서 수차례 고장이 있었기 때문에 고리1호기도 재가동할 것으로 생각했다”면서 “국내에서는 일본과 같은 원전사고가 나지 않기를 바랄 뿐이며 정부가 원전시설에 대한 안전관리를 더욱 철저히 해달라”고 말했다.
고리원전 인근에서 식당을 하는 이모(45)씨는 “노후원전인 고리1호기가 안전한 지 주민들은 솔직히 잘 모른다”면서 “일본 원전 사고 이후 시민들이 방사능에 대한 과민반응을 보이면서 매출이 급감했는데 원전에 대한 불신감이 빨리 해소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오규석 기장군수는 “고리1호기의 안전성 평가보고서가 공개됐지만 전문가가 봐도 잘 이해하지 못하는 내용이었다”면서 “고리1호기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국제원자력기구 등 제3의 기관에서 안전진단을 실시해 안전과 관련해 한 점 의혹도 없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