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로 채운 ‘사랑의 쌀독’

트위터로 채운 ‘사랑의 쌀독’

입력 2011-05-14 00:00
업데이트 2011-05-14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트위터로 당산역 쌀독에 쌀을 채워 주십시오. 누군가로부터 축하받을 일이 있다면 마음만 받으시고 선물은 쌀로 바꿔 당산역으로 보내 주세요. 사랑에 빠진 청년들은 당산역 쌀독에 사랑을 채워 줄 번개팅을 기획하시면 어떨까요?”

이미지 확대




지난달 아이디 ‘@gombury’의 트위트가 시작을 알리면서 서울 지하철 2호선 당산역(역장 천경례)에 있는 ‘사랑의 쌀독’에 다시 쌀이 채워졌다.

2009년 11월 11일, 전국 지하철역 최초로 이곳에 사랑의 쌀독이 만들어졌다. 쌀독은 2003년 영등포역에서 아이를 구하고 두 다리를 잃은 ‘아름다운 철도원’ 김행균 개봉역장의 나눔 운동을 보고 당산역 직원들이 설치한 것이다. 시민들이 십시일반 정성을 다해 모은 쌀은 어려운 사람 누구나 와서 가져갈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사랑의 화수분 같던 쌀독이 지난달 중순 텅 비고 말았다. 별로 어렵지도 않으면서 쌀을 가져가거나 야외로 놀러가는 길에 장난 삼아 몰래 쌀을 퍼 가는 사람들 때문에 그만 쌀독이 바닥을 드러낸 것이다. 쌀독이 만들어진 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이 때문에 정작 쌀이 필요한 어려운 사람들은 어렵사리 이곳을 찾았다가 쓸쓸히 발길을 돌려야 했다. 직원들도 난감했다.

쌀독을 관리하는 안치문 당산역 주임은 “멀리서 힘들게 쌀을 가지러 오신 분들이 쌀 한 줌도 못 챙긴 채 돌아가는 모습을 보면서 어떻게 해 드릴 수가 없어 안타까웠다.”고 말했다.

이 쌀독을 다시 채운 것은 다름 아닌 ‘트위터’의 힘이었다. 아이디 ‘@gombury’의 트위트 이후 당산역 사랑의 쌀독에 쌀을 채우자는 트위트가 쏟아졌다. 아이디 ‘@dubi_s’는 “당산역 사랑의 쌀독에 쌀이 떨어졌답니다. 당산역에 쌀 기부하러 가요.”라고 글을 올렸다. 아이디 ‘@mojito0’는 “앞으로 쌀독이 다시 마르지 않도록 계속 리트위트(RT) 요망!”이라고 글을 올리기도 했다.

트위트를 본 서울 염창동 염창중 봉사활동 동아리 청소년적십자(RCY) 소속 학생들은 쌀 500㎏ 모으기에 나섰다. 이들이 지난 7일 모은 쌀을 기증하면서 쌀독이 다시 채워졌다. 경기 동두천에서 한걸음에 달려와 쌀을 기부한 이도 있었다. 13일 현재 트위터 등을 통한 기부로 34만원의 기부금과 쌀 2t이 모아졌다.

하지만 하루 평균 40㎏의 쌀을 어려운 이웃들이 가져가기 때문에 2달 정도밖에 버티지 못한다. 안 주임은 “아직도 우리 사회에는 끼니를 제대로 해결하기 어려운 이웃들이 많다.”면서 “더 많은 기부가 이뤄져 이 쌀독에서 사랑을 확인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진아기자 jin@seoul.co.kr
2011-05-14 1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