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8년 고엽제 DMZ에 모두 써 캠프캐럴 등 미군기지로 안 갔다”

“1968년 고엽제 DMZ에 모두 써 캠프캐럴 등 미군기지로 안 갔다”

입력 2011-05-31 00:00
업데이트 2011-05-31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군 고엽제 사용 보고서’ 작성한 앨빈 영 박사 인터뷰

이미지 확대
앨빈 영
앨빈 영
2006년 미 국방부의 요청으로 미군의 고엽제 사용 과정을 조사한 보고서를 작성한 미국의 고엽제 전문가 앨빈 영(69) 박사는 30일 “쓰고 남은 고엽제가 캠프 캐럴 등 한국 내 미군기지로 갔다는 증거는 전혀 없다.”고 말했다. 영 박사는 서울신문과의 전화 및 이메일 인터뷰에서 “1968년 비무장지대(DMZ) 제초를 목적으로 들여온 고엽제는 현장에서 모두 쓰였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영 박사의 이 같은 주장은 1970년대 캠프 캐럴에서 근무한 전 주한미군 스티브 하우스가 부대 안에 고엽제로 추정되는 물질이 들어 있는 드럼통을 대량으로 매립했다고 한 주장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1968년 DMZ에 살포하기 위해 한국에 들여온 고엽제는 얼마나 되나.

이미지 확대
존스턴섬서 조사  앨빈 영 박사가 1974년 하와이 인근 존스턴 섬에서 고엽제가 담긴 드럼통 주변을 조사하고 있는 모습. 앨빈 영 제공
존스턴섬서 조사
앨빈 영 박사가 1974년 하와이 인근 존스턴 섬에서 고엽제가 담긴 드럼통 주변을 조사하고 있는 모습.
앨빈 영 제공
-베트남에서 미 공군이 재고로 갖고 있던 에이전트 오렌지 7만 9040ℓ와 에이전트 블루 13만 2080ℓ, 미 본토에서 모뉴론(분말형) 17만 6870㎏을 들여왔다.

→당시 사용하고 남은 고엽제가 1978년 캠프 캐럴에 매립됐을 가능성은 없나.

-없다. 애초 8090㏊에 뿌릴 고엽제를 들여왔는데, 막상 7330㏊에 살포하니 모두 동났다.

→미군이 다른 경로를 통해 추가로 가져온 것은 아닐까.

-베트남에서의 군수물자 수송은 ‘공군물자사령부’의 통제 아래 이뤄지기 때문에 기록에 없는 것이 다른 루트로 올 수는 없다. 미 본토에서 온다면 미시시피의 걸프포트에서 왔다는 얘기인데, 그런 일은 없었다. 당시 내가 거기에서 환경병과 장교로 근무해서 잘 안다. 당시 기록에는 살포하고 텅 빈 에이전트 오렌지(고엽제) 드럼통 380개와 에이전트 블루 드럼통 635개를 물이나 디젤 연료로 씻은 뒤 살포를 담당했던 한국의 1군사령부에 넘겨줬고, 모뉴론을 담았던 섬유 재질의 드럼통 7600개는 현장에서 불태웠다고 돼 있다. 한국군에 넘겨준 드럼통은 금속 재질이어서 불태울 수가 없었다. 디젤 연료를 담았던 7000개의 드럼통도 한국군에 줬다.

→한국군은 금속 드럼통들을 어떻게 했을까.

-한국군에 넘겨줬다고만 돼 있고 그 다음엔 기록에 없으니 모르겠다. 어디에 팔았을 수도 있다. 그 드럼통들은 고급 강철로 만든 것이었으니까. (웃으면서)그땐 1968년이었다(한국이 가난했다는 뜻).

→한국 외에 남은 고엽제들을 미군은 어떻게 했나.

-1970년부터 발효된 새 규정에 따라 베트남에 보관돼 있다가 1972년 돌아온 고엽제와 1968~1969년 미 본토에 보관돼 있던 고엽제는 1977년 태평양 한가운데의 배에서 모두 소각했다.

→당시 DMZ 고엽제 살포 최종 명령자는 누구였나.

-한국 1군사령부가 했다. 미군은 고엽제를 제공한 역할만 했다. ‘최원식’이라는 한국군 소령이 살포 전 10개월간 미 앨라배마 주의 화학훈련센터에서 교육받고 돌아갔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서울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1-05-31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