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1955년 DMZ에 고엽제 공중살포”

“미군, 1955년 DMZ에 고엽제 공중살포”

입력 2011-05-31 00:00
업데이트 2011-05-31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당시 육군상사 음도남씨

주한미군이 한국전쟁 종전 직후 비무장지대(DMZ)에 고엽제를 대량 살포했다는 주장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제기됐다.

이미지 확대
음도남씨 연합뉴스
음도남씨
연합뉴스


강원 철원군에서 육군 상사로 근무했던 음도남(77·경기 연천군 신서면)씨는 30일 “1955년 육군 15사단 소속으로 철원군의 백마고지에서 근무할 당시 미군이 헬리콥터 등을 이용해 한 달에 3~4차례씩 DMZ에 고엽제를 공중 살포했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캠프머서 주변 지하수 채취   30일 화학물질 매몰 의혹을 받은 경기 부천시 오정구 오정동 옛 미8군 ‘캠프 머서’ 주변 주택가에서 부천시 직원들이 지하수 오염 여부를 가리기 위해 표본을 채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캠프머서 주변 지하수 채취

30일 화학물질 매몰 의혹을 받은 경기 부천시 오정구 오정동 옛 미8군 ‘캠프 머서’ 주변 주택가에서 부천시 직원들이 지하수 오염 여부를 가리기 위해 표본을 채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는 1960년대 말 DMZ에 고엽제가 뿌려졌다는 기존 주장과 조금 다른 내용이다. 음씨는 “당시 고엽제 살포는 미군이 독자적으로 진행했으며 한국군은 참여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 당시 미군이 고엽제를 공중살포할 때마다 한국군에는 방독면과 우의를 착용하고 방공호로 대피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고 전했다.

특히 음씨는 “연천군 신서면 천덕산 인근에서 선임하사로 근무하던 1967년에 미군이 지켜보는 가운데 한국군 중대장의 지휘 아래 병사들이 고엽제 분말을 맨손으로 떠서 뿌렸다.”고 증언했다. 이로 인해 음씨는 20여년 전부터 손가락 끝마디가 구부러지고 왼쪽 다리가 마비되는 증상에 시달리고 있으며, 2007년 ‘국내 고엽제 피해자’로 인정받아 국가보훈처에서 보조금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국내 고엽제 피해자’는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군인과 달리 1967년 10월 9일부터 1970년 7월 31일 사이에 남방한계선 인접 지역에서 고엽제 살포에 참가한 군인이나 군무원을 의미한다.

고엽제 피해와 더불어 현재 고혈압에 당뇨병까지 앓고 있는 음씨는 “고엽제를 뿌리고 나면 잡초들이 순식간에 죽어 없어졌다.”며 “위험한 약품인 줄 알았다면 절대 맨손으로 뿌리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장충식기자 jjang@seoul.co.kr

2011-05-31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