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교육비 4.7% 감소

가계교육비 4.7% 감소

입력 2011-05-31 00:00
업데이트 2011-05-31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05년 1분기 이후 최대폭 중등교육비 감소가 큰 영향

올해 1분기 가계의 교육비 지출이 6년 만에 최대폭으로 감소했다. 저출산으로 학생 수가 감소한 데다가 학비 면제 등 정부 지원이 늘어난 결과로 분석된다.

30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전국 2인 이상 가계의 월평균 교육비 지출은 실질 기준 29만 2357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분기보다 4.7%(1만 4434원) 줄었다. 2005년 1분기(-6.2%) 이후 가장 큰 감소율이다.

학생학원교육비가 4.6%(6392원) 줄어든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 학원비 하락폭은 전체 교육비 감소폭의 44.3%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 정부 관계자는 “학생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데다 방과후 학교, 온라인 교육 등 사설 학원을 대체할 만한 교육 수단이 확대된 점도 어느 정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초·중·고교에 다니는 학생 인구는 올해 706만명으로 작년 732만명보다 26만명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10년 전인 2001년의 802만명보다 100만명가량 감소하는 셈이다.

공교육에서 중·고교 등 중등교육비가 1년 새 2만 1001원에서 1만 5377원으로 26.8%(5624원) 감소한 것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는 통계청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3년 이래 최대 하락폭이다.

중등교육비 하락폭은 전체 교육비 감소폭의 39.0%를 차지했다. 결국 학생학원비와 중등교육비의 하락폭이 전체 감소폭의 83.3%를 차지하는 셈이다. 중등교육비 감소는 학교 운영비와 학비 면제 등 중등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 지원의 결과인 것으로 해석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올해부터 광주·경기·강원·전북·경남 등 5개 광역자치단체에서 월 5만원가량이던 학교 운영비를 면제했다.”면서 “특성화고교의 학비가 올해부터 전액 면제로 바뀐 것도 한 요인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1-05-31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