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11.3%… 한국 더 빨리 늙는다

65세 이상 11.3%… 한국 더 빨리 늙는다

입력 2011-05-31 00:00
업데이트 2011-05-31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년전 추계보다 0.3%P↑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1명은 65세 이상 고령인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국 모든 시·도의 65세 이상 인구 구성비가 7%를 넘어서면서 본격적인 고령화사회에 접어들었다. 65세 이상 인구 구성비가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된다.

이미지 확대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 인구부문 전수집계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10년 11월 현재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542만명으로 총 인구의 11.3%를 차지했다. 2005년 436만명보다 106만명(24.3%)이나 급증했다.

시·도별로 보면, 울산의 65세 이상 인구가 7.0%(2005년 5.3%)로 높아지면서 전국의 모든 시·도가 고령화사회에 진입했다. 전남의 고령인구 비중이 20.4%로 고령화가 가장 많이 진전됐으며 경북 16.7%, 전북 16.4%, 충남·강원이 각각 15.5% 순이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2005년 추계 당시 2010년 고령인구는 11.0%였는데, 이번 조사 결과 11.3%로 조금 더 늘어났다.”면서 “고령화 진전이 예상보다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1월 기준 우리나라의 총조사 인구는 4858만명으로 2005년(4728만명)보다 130만명(2.8%) 늘었다. 50년 전보다 약 1.9배 증가했다. 지난 5년간 연평균 인구증가율은 0.5%였다.

연령별로는 30~40대 인구가 1599만명(33.3%)으로 인구구조의 중심을 이루면서 30대 미만과 50대 이상이 적은 ‘항아리형’ 인구피라미드를 보이고 있다. 40~44세 인구가 413만명(8.6%)으로 가장 많으며, 0~4세 인구는 221만명(4.6%)으로 2005년 238만명(5.1%)보다 16만명이 줄었다.

노령화와 함께 여초(女超) 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성별로 보면 남자는 2416만명, 여자는 2441만명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많았고, 2005년보다 각각 2.3%, 3.2% 늘었다. 또 30대의 미혼율은 29.2%로 2005년 21.6%에 비해 7.6% 포인트 증가했다. 한편 우리나라의 인구밀도는 ㎢당 486명으로 2005년(474명)보다 12명 많아졌다. 우리나라는 방글라데시(1033명/㎢), 타이완(640명/㎢) 다음으로 세계 세 번째의 인구 조밀 국가로 나타났다.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2011-05-31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