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규 검찰총장 퇴임식
“항상 국민의 뜻을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순간의 지지에 들뜨지도 말고, 순간의 비난에 흔들리지도 말아야 한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김준규(왼쪽) 검찰총장이 13일 오후 서울 서초동 대검찰청에서 열린 퇴임식에서 홍만표 대검 기획조정부장으로부터 대형 초상화를 전달받고 있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김준규 검찰총장이 13일 서울 서초동 대검찰청 청사에서 가진 퇴임식에서 ‘국민’을 유독 강조했다. 검경 수사권 조정과 관련해 지난 4일 사의를 표명한 김 총장은 이날 사표가 수리되면서 29년간의 검찰 생활을 마감했다. 그는 다음 달 19일까지인 임기를 37일 남겨 두고 퇴임, 총장 임기제 도입 이후 취임한 16명 중 중도 사퇴한 10번째 총장으로 기록됐다.
김 총장은 이날 퇴임사에서 “국민을 바라보고, 국민들과 눈높이를 같이하며, 국민들의 소리를 듣고, 국민들과 함께 생각해야 한다.”며 “검찰은 국민의 지지와 사랑 속에서만 살아남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총장의 이 같은 발언은 그동안 검찰이 국민과의 소통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의식, 후배들에게 국민을 최우선 순위에 두라는 당부로 읽힌다. 김 총장은 “아직도 세상은 어두운 곳이 많다. 거짓, 가짜, 부패, 퇴폐, 폭력이 여전히 세상을 뒤덮고 있다.”며 “검찰은 우리 사회에서 등대의 역할을 해야 한다. 어둠에 계속 빛을 비춰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는 또 “검찰은 변하고 있고 많이 변했다. 이제 변모된 검찰이 세상을 변화시킬 때”라며 후배들에게 깨끗한 세상을 만드는 기수가 되기를 주문했다.
김 총장은 “약속도 합의도 지켜지지 않고 책임도 지지 않는다. 하지만 원칙이 무너지면 안 된다.”며 여전히 불편한 속내를 숨기지 않았다.
퇴임식에는 후임 검찰총장 후보로 거론되는 박용석 대검 차장과 차동민 서울고검장, 한상대 서울중앙지검장 등 검찰 주요 간부와 김 총장 가족 등 400여명이 참석했다.
김 총장은 2009년 8월 천성관 총장 후보자의 중도 낙마사태 이후 깜짝 발탁됐다. 당시 검찰은 ‘박연차 게이트’로 시작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와 임채진 전 총장의 사퇴 등 각종 악재가 겹치면서 신뢰가 바닥까지 떨어진 상황이었다.
이에 김 총장은 조직 안정과 검찰 개혁에 역점을 뒀고, 피해자 보호 위주로 수사 패러다임을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그러나 특수나 공안부서 근무 경험이 적어 조직 장악력이 부족했다는 지적도 있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11-07-14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