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는 디스플레이용 유기반도체 소재 개발

휘는 디스플레이용 유기반도체 소재 개발

입력 2011-07-18 00:00
수정 2011-07-18 00: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동훈 고대 연구팀 “활용도 높아”

얇고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데 필요한 새로운 유기 반도체 소재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최동훈 고려대 연구팀이 셀레늄(Se) 등으로 구성된 5각형 고리모양 분자구조인 ‘셀레노펜’을 섞어 유기 트랜지스터용 고분자 물질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논문은 미국 화학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이 유기 물질은 용액 상태에서 인쇄하듯이 찍어내거나, 회전력을 이용해 얇게 펴는 스핀코팅 방식의 ‘용액공정’이 가능한 소재로, 이를 사용하면 얇은 박막 형태의 휘어지는 트랜지스터를 만들 수 있다. 특히 이 신소재로 제작한 유기박막트랜지스터는 기존 무기박막트랜지스터에 비해 전하 이동도(단위 면적당 전자의 흐름)가 2~3배 더 빠른 것으로 확인됐다. 트랜지스터에 이 유기물을 사용하면, 실리콘과 같은 무기물 트랜지스터보다 제조공정이 더 간단해질 뿐 아니라 더 쉽게 얇고 유연한 트랜지스터를 만들 수 있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1-07-1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