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고생 2명 몽골 지도 ‘일본해’ → ‘동해’로 바로잡아


주인공은 경기 고양시 무원고교 3학년 황예슬(오른쪽), 이재연(왼쪽·이상 18)양. 이들은 지난해 7월 말 고양시 청소년역사문화교육원이 주관한 몽골 봉사활동에 참여했다가 우연히 방문한 ‘돈드고비 박물관’에 전시된 세계지도를 보고 깜짝 놀랐다고 한다.
●“亞 동쪽 바다라 ‘동해’가 옳다”
큰 지도에는 동해가 ‘Японское море’(야폰스코예 모레·일본해)라고 표기돼 있었기 때문이다.
“외국 지도에 일본해 표기가 많다는 언론 보도를 봤는데, 돈드고비 박물관도 그런 것 같아 통역에게 물었더니 일본해라고 말하더군요.”
한국으로 돌아온 황양과 이양은 표기 오류를 수정하겠다고 다짐했고, 지난 1월 돈드고비 박물관 관계자에게 편지를 써 설득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도서관에서 동해와 관련된 자료를 찾았고 인터넷을 검색하는 등 3주일에 걸쳐 자료조사를 했다. 명백한 대응 논리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유럽의 북해는 유럽 대륙의 북쪽에 있는 바다로, 노르웨이의 남쪽에 있지만 ‘노르웨이해’라고 부르지 않는다.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있는 바다는 일본의 서쪽이라고 해도 ‘동해’로 표기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황양과 이양은 2월 몽골의 유력 인사가 방한했을 때 청소년역사문화교육원 김성호 원장을 통해 자신들의 주장이 담긴 편지를 전달했다. 편지와 함께 가야금 음악 CD와 태극부채도 선물했다. 그 유력 인사는 귀국 후 돈드고비 박물관을 찾아 두 여고생의 뜻을 전했다. 지난달 몽골을 방문한 김 원장은 돈드고비 박물관을 찾았고, 박물관 세계지도에는 일본해가 ‘восточное море’(보스토치노예 모레·동해)로 변경돼 있었다.
●3주간 자료조사 끝 박물관 측 설득
김 원장이 찍어 온 사진을 통해 동해로 바뀐 것을 확인한 황양은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주권 침해를 해결한 데 자부심을 느낀다.”며 “앞으로도 다른 나라 지도에서 일본해를 동해로 모두 바로잡고 싶다.”고 말했다.
황양은 국제문제전문가, 이양은 스튜어디스가 되는 것이 꿈이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2011-08-1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