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는 “지난 1월 삼호주얼리호 피랍 사건 때 해적에게 총상을 입은 석해균 선장을 살려낸 이국종(42) 아주대병원 외상외과 교수가 다음 달쯤 삼성서울병원으로 옮길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고 22일자로 보도했다.
이미지 확대
이국종 아주대병원 외상센터 과장.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국종 아주대병원 외상센터 과장.
이 매체는 “삼성이 석 달 전부터 이 교수를 접촉했고 삼성서울병원에 중증외상센터 설립을 고려하고 있으며 이 교수를 꼭 영입하고 싶다는 의사를 전달했다.”는 삼성의 고위 관계자 말을 인용했다.
이어 “아직 이 교수의 이동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추석 전까지 결론이 날 것”이라는 이 교수의 말도 인용했다. 이와 관련, 이 교수는 “중증외상센터를 만들었을 때의 장단점과 수익 구조, 의료진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생각을 다 전달했다. 삼성이 결단을 하면 그에 따라 거취를 정하겠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중증외상센터는 적자가 날 가능성이 큰 데도 삼성이 센터 설립을 고민하는 것 자체가 굉장히 좋은 시도”라면서 “삼성서울병원은 국내 최고 수준의 응급 환자 이송용 헬기도 갖추고 있고, 인적·물적 자원이 풍부해 중증 외상 환자의 치료 환경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고 말했다.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