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눈높이 맞춘 수사로 檢 신뢰 회복”

“국민 눈높이 맞춘 수사로 檢 신뢰 회복”

입력 2011-08-23 00:00
수정 2011-08-23 0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국 고·지검장 23명 일제히 취임



최교일 서울중앙지검장은 22일 “내부 감찰 강화와 국민 눈높이에 맞춘 수사로 검찰의 신뢰를 회복하겠다.”고 강조했다.

최 지검장은 서울 서초구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에서 가진 취임식에서 “과일의 상한 부위를 그냥 놔두면 전체가 썩고 결국 주변 과일까지 다 썩게 만든다.”며 “우리 스스로 깨끗해야 한다. 이제 가혹하게 감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고 감찰 강화를 예고했다. 이어 “국민을 존중하고 두려워하는 마음을 가져야 하며, 그 눈높이를 못 따라가면 국민은 검찰에 등을 돌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은 위기상황으로 위기를 깨닫지 못한다면 조직에 희망이 없다.”며 “위기를 인식하고 한마음으로 대응하면 극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안창호 서울고검장 역시 취임식에서 “깨끗한 검찰을 위해 고검 감찰 기능을 대폭 강화하겠다.”며 “소금과 같이 짠맛을 가지고 사회 구석구석에서 정의가 구현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학의 광주고검장은 취임사에서 “‘소훼난파’(巢毁破·둥지가 부서지면 알도 깨진다)의 정신을 바탕으로 법질서 확립과 국민 신뢰 회복을 위해 공정하고 투명하게 검찰권을 행사하겠다.”며 “‘국민의 눈’이 ‘정의의 칼’보다 더 무섭고 매섭다는 사실을 명심해 ‘국민의 뜻’ 앞에 모든 것을 내려놓는 검찰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검찰도 이제는 과거의 지식과 경험에만 의존하는 ‘방전형’ 조직이 아닌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꾸준히 공급받는 ‘충전형’ 조직이 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날 전국에서 일제히 취임한 23명의 고·지검장들은 사회 비리 척결, 거악과의 전쟁 등을 강조했던 과거 검찰 지휘부의 취임사와는 달리 내부 비리에 대한 감찰을 강조해 사뭇 결연한 분위기였다.

오이석·최재헌기자 hot@seoul.co.kr
2011-08-2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