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첫 여성 ‘정년보장 외국인 교수’ 탄생

서울대 첫 여성 ‘정년보장 외국인 교수’ 탄생

입력 2011-08-25 00:00
수정 2011-08-25 0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린 일란 사범대 교육학과 교수

이미지 확대
린 일란 서울대 사범대 교육학과 교수
린 일란 서울대 사범대 교육학과 교수
서울대는 사범대 교육학과 린 일란(58) 교수를 부교수에서 정교수로 승진시키고 정년을 보장하기로 했다고 24일 밝혔다. 서울대에 첫 여성 외국인 정년 보장 교수가 나오기는 처음이다.

외국인 남성 교수 중에선 지난 3월 공대 컴퓨터공학부의 로버트 매케이 교수가 처음으로 정년 보장을 받았다. 65세까지 서울대에서 근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서울대에는 현재 88명의 외국인 교수가 재직하고 있다.

일란 교수는 “앞으로 더욱 열심히 일하겠다.”면서 “2학기에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평생학습연구방법론과 융합학습시스템 등을 강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서울대 외국인교수협회장도 맡게 됐다.”면서 “서울대에 외국인 교수들이 꾸준하게 늘고 있는 만큼 다양한 모임을 활성화해 외국인 교수들이 한국 생활에 불편함이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일란 교수는 1970년 하와이 주립대에서 인류학을 전공한 뒤 뉴욕 주립대와 플로리다 주립대에서 각각 심리학과 경제학 석사를, 플로리다 주립대에서 국제개발교육학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0년부터 뉴욕 주립대에서 조교수, 2001년 플로리다 주립대 국제대학 부교수를 거쳐 2009년 3월부터 서울대 사범대 강단에 섰다.

서울대 측은 “국적과 상관없이 연구 실적이 우수하고 교수 활동이 뛰어난 교수는 정년을 보장할 계획”이라면서 “외국인 교수들에게 정년을 보장하는 것은 서울대가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추게 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1-08-2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