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도 1분46초, 살인 6시간48분, 강도 2시간2분…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전국의 ‘범죄시계’가 빨라지고 있다. 범죄시계는 범죄가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지 보여 주는 지표로, 범죄 건수를 시간으로 나눈 것이다.
5대 강력범죄 한 건이 발생하는 데 2007년에는 1분 1초가 걸렸지만, 지난해에는 54초로 줄어들었다. 올 들어 6월까지는 52초로, 범죄시계가 2007년에 비해 16.5% 빨라졌다. 범죄 유형별로는 지난해까지 폭력이 5대 강력범죄 발생 건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2007년만 해도 56.5%인 29만 4330건이 폭력이었다. 그러나 올 들어 6월까지는 절도가 14만 9011건(49.1%)으로, 14만 2542건(47.0%)에 그친 폭력을 처음으로 추월했다. 이에 따라 절도의 범죄시계는 2007년 2분 28초에서 올 들어 1분 46초로 40.3% 당겨졌다. 폭력은 같은 기간 1분 47초에서 1분 50초로 정체된 모습이다.
곽대경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폭력 등 인권 유린형 범죄는 정체된 반면 절도와 같은 생계형 범죄가 늘어난 것은 경기 침체 영향이 크다.”면서 “경기 침체가 범죄지형까지 바꾸고 있다.”고 강조했다.
강간의 증가세도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강간의 범죄시계는 2007년 1시간 12초였으나 올 들어서는 28분 54초로 무려 31분 18초(108.7%)나 앞당겨졌다.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신고율이 급증한 게 가장 큰 원인”이라면서 “1인 가구 증가 등 주거 형태의 변화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살인은 2007년 7시간 56분 6초에서 올해 6시간 48분 42초로 범죄시계가 16.5% 빨라졌다. 반면 강도는 같은 기간 1시간 58분 30초에서 2시간 2분 42초로 소폭 늦춰졌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11-09-21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