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와 부대낀 38년… 자식들 말려도 계속할 것”

“뉴스와 부대낀 38년… 자식들 말려도 계속할 것”

입력 2011-11-05 00:00
수정 2011-11-05 00: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현역 최고령’ 서울신문 담양군 창평지국장 90세 문희연옹

반달이 밤을 밝히는 11시, 전남 담양군 창평면의 한 주택에 불이 켜졌다. 모두들 하루를 정리할 시간에 38년이 한결같은 문희연(90) 서울신문 지국장의 하루가 시작된다.

1921년 12월 12일생이니 한 달만 지나면 망백(望百). 손주들 재롱이나 즐길 나이지만 그는 신문 배달을 제외한 지국의 모든 일을 해내고 있다. 집 안을 둘러보니 6년 전에 부인을 먼저 보내고 혼자 산다는 살림이 깔끔하기 이를 데 없다.
이미지 확대
1973년부터 전남 담양 창평지국장을 맡아 일해온 문희연 할아버지가 배달할 신문들을 챙기고 있다.
1973년부터 전남 담양 창평지국장을 맡아 일해온 문희연 할아버지가 배달할 신문들을 챙기고 있다.


●배달 빼고 모든 일 직접 챙겨

4년 전 대장을 잘라내 불면 날아갈 듯 가벼운 몸피로 지국 일을 챙기는 그를 5일 오전 7시와 오후 7시 케이블 채널 서울신문STV를 통해 방영되는 ‘TV 쏙 서울신문’이 만났다. 1973년 10월부터 서울신문사와 계약을 맺고 일해온 그는 어쩌면 현역 신문 지국장 중 최고령일 것이다. 서울신문사 독자서비스국 캐비닛에 보관된 지국 계약서는 색이 누렇게 변해 있었다.

문 지국장은 띠지를 정리하면서 하루 일과를 준비한다. 4~5년 전만 해도 자전거로 독자들 집 앞까지 몸소 신문을 날랐다고 했다.

40분 뒤, 잉크 냄새 가득한 첫 신문이 새벽 기운과 함께 배달됐다. 문 지국장은 곧바로 속지를 끼워 넣었다. 젊은 지국장이라면 수십 분에 끝낼 일이지만 그는 대단히 느릿느릿 정성을 다했다. 보고 있자니 경외심이 우러나올 정도다.

그 나이에 적지 않은 육체 노동이다. 그는 “아침마다 일하니까 건강하다. 일하는 재미에다 돈 버는 재미도 있다. 이거 안 하면 너무 적적하고, 아플 시간도 없다.”고 말했다.

다섯 남매에 고손자까지 42명의 가족을 뒀다며 자부심을 내비친 그에게 자녀들이 뜯어말리지 않느냐고 물었다. 문 지국장은 “난 ‘힘 닿는 데까지 해보련다.’ 그럽니다.”라며 “내 할 일하는데 너희들이 말린다고 해서 듣겠느냐고 되물으면 얘기가 끝난다.”고 했다.

새벽 2시 40분에 서울신문을 비롯한 두 번째 신문 뭉치가 도착했다. 기사 정정일(44)씨는 “없는 이들 도와주겠다는 것에서 한 걸음 나아가 더불어 살자는 정신을 몸소 보여주는 분”이라고 말했다.

문 지국장은 배달될 지역을 정확히 구분해 신문을 쌓고, 또 배달 방법에 따라 부수를 나눴다. 장부는 보지 않는다고 했다. 귀가 잘 들리지는 않지만 전화로 수금 독촉하고 총무 채근할 정도로 정신은 또렷하다고 했다.

●“수금 독촉하고 총무 채근할 정신은 또렷하지”

새벽 4시 40분. 광주에서 달려온 총무가 독자들 집 앞이나 학교까지 배달할 신문을 들고 사라지자 그의 아침이 마무리됐다. 한숨 돌리며 신문을 펼치는데 한사코 서울신문을 고집했다.

문 지국장이 매일 독자에게 전하는 신문은 몇 년 전만 해도 850여부였는데 지금은 600여부로 줄었다. 신문의 값어치가 줄어드는 요즘, 38년을 신문과 부대껴온 문 지국장의 신문 사랑에 새삼 눈길이 가는 이유다.

담양 글 임병선기자 bsnim@seoul.co.kr

사진 문성호PD sungho@seoul.co.kr
2011-11-05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