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공개 자퇴한 장혜영씨 “밖에서 더 큰 가치 찾으려 학교와 이별”

연세대 공개 자퇴한 장혜영씨 “밖에서 더 큰 가치 찾으려 학교와 이별”

입력 2011-11-18 00:00
업데이트 2011-11-18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딱딱한 학벌폐지론자 아니다”

“딱딱한 학벌 폐지론자가 아니라 단지 자유를 더 소중하게 생각해서”

15일 서울 연세대 중앙도서관에 ‘공개 이별 선언문’이라는 제목의 대자보를 붙인 신문방송학과 4학년 장혜영(24·여)씨가 자퇴를 결심한 이유다. 장씨는 14일 학교에 자퇴서를 제출한 뒤 이별 선언문이라는 독특한 방식으로 자퇴를 알렸다. 하늘색 종이 위에 검정색 물감으로 글을 쓰고, 낙엽를 붙여 장식했다.

이미지 확대
장혜영씨
장혜영씨
장씨는 17일 서울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학벌주의의 옳고 그름에 대해 말하거나 그것을 비판하기 위함이 아니다.”라면서 “다만 학교 밖에서 더 큰 가치를 찾을 수 있다는 나의 신념을 전달하기 위해 대자보를 통해 알렸다.”고 말했다. 자신의 자퇴를 두고 학벌주의에 대한 반감이나 비판이라는 해석을 경계했다. 대자보에도 “학교보다 더 좋은 게 있어 학교를 그만둔다.”라면서 “학우 여러분 학교를 사랑하지 않는다면 왜 굳이 여기 있는가.”라고 썼다. 지난해 3월 ‘대학을 거부한다’는 내용의 대자보를 붙이고 자퇴한 고려대 김예슬(25·여)씨, 지난달 ‘대학 서열화와 입시 위주 교육을 반대한다’는 서울대생 유윤종(23)씨와는 다른 이유라는 것이 장씨의 설명이다.

장씨는 “많은 분들이 제가 쓴 대자보의 내용을 제대로 읽지도 않고 단순히 ‘명문대생의 투정’이라고 치부하는 것을 보고 상처도 받았다.”면서 “나처럼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는 것을 알리고 싶었을 뿐”이라고 분명하게 말했다. 그러면서 “보통의 대자보와는 다르게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쓴 편지를 읽는 마음으로 봐 달라는 생각에 이런 형식을 취했다.”고 밝혔다.

장씨는 앞으로 하고 싶은 일을 찾는 데 몰두할 계획이다. 장씨는 “내가 생각하는 것들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고 소통할 수 있는 방식을 찾고 싶다.”면서 “애니메이션 고등학교를 다니면서 배운 영상물 제작 기법을 사용해 영상물을 만들거나 책을 쓰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2011-11-18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