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가축 매몰지 300곳에 대한 환경영향조사 결과 4곳 가운데 1곳꼴인 71곳에서 침출수 유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전국 가축 매몰지 300곳을 선정해 분기별로 환경영향조사를 실시한 결과 71곳은 침출수 유출 가능성이 높고, 58곳은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조사 대상 매몰지는 침출수 유출의혹이 제기된 곳, 대규모 매몰지, 하천인근 취약 매몰지 등 300곳으로 5m 이내 관측정과 내·외부 침출수, 지하수 특성, 수질 및 매립가스 등을 조사했다.
유출 가능성이 높은 곳은 경기가 33곳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경북(12곳), 강원(8곳), 충남(7곳), 충북(5곳), 경남(3곳), 전남(2곳), 인천(1곳) 순이었다. 171곳은 침출수가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 관계자는 “조사 결과를 해당 지자체에 통보해 내년 3월까지 매몰지 34곳은 이설토록 하고 13곳은 차수벽 설치 등 정비 보강, 24곳은 침출수 수거 조치를 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립환경과학원을 통해 매몰지 주변 300m 이내의 지하수 관정에 대한 수질조사 결과 3분기 기준 전체 8081곳 중 침출수 영향이 확인된 곳은 없다고 덧붙였다.
전체 4799곳의 가축 매몰지 중 3분의1이 넘는 2917곳의 지하수 관정이 수질기준을 초과했지만 이는 축산폐수, 비료, 퇴비 등 매몰지 이외 오염원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상수원 상류 및 매몰지 주변의 지하수 관정 1000곳에 대한 하반기 조사에서는 침출수의 영향은 아니지만 대장균, 클로스트리디움 등이 검출됐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수질기준을 초과한 지하수의 사용 중지와 함께 상수도 보급 등 먹는물 안전대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유진상기자 jsr@seoul.co.kr
환경부는 전국 가축 매몰지 300곳을 선정해 분기별로 환경영향조사를 실시한 결과 71곳은 침출수 유출 가능성이 높고, 58곳은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조사 대상 매몰지는 침출수 유출의혹이 제기된 곳, 대규모 매몰지, 하천인근 취약 매몰지 등 300곳으로 5m 이내 관측정과 내·외부 침출수, 지하수 특성, 수질 및 매립가스 등을 조사했다.
유출 가능성이 높은 곳은 경기가 33곳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경북(12곳), 강원(8곳), 충남(7곳), 충북(5곳), 경남(3곳), 전남(2곳), 인천(1곳) 순이었다. 171곳은 침출수가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 관계자는 “조사 결과를 해당 지자체에 통보해 내년 3월까지 매몰지 34곳은 이설토록 하고 13곳은 차수벽 설치 등 정비 보강, 24곳은 침출수 수거 조치를 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립환경과학원을 통해 매몰지 주변 300m 이내의 지하수 관정에 대한 수질조사 결과 3분기 기준 전체 8081곳 중 침출수 영향이 확인된 곳은 없다고 덧붙였다.
전체 4799곳의 가축 매몰지 중 3분의1이 넘는 2917곳의 지하수 관정이 수질기준을 초과했지만 이는 축산폐수, 비료, 퇴비 등 매몰지 이외 오염원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상수원 상류 및 매몰지 주변의 지하수 관정 1000곳에 대한 하반기 조사에서는 침출수의 영향은 아니지만 대장균, 클로스트리디움 등이 검출됐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수질기준을 초과한 지하수의 사용 중지와 함께 상수도 보급 등 먹는물 안전대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유진상기자 jsr@seoul.co.kr
2011-12-21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