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시장 새 정책 ‘희망씨앗’ 100개 선정

박원순시장 새 정책 ‘희망씨앗’ 100개 선정

입력 2012-01-29 00:00
수정 2012-01-29 11: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예산집행 효율성 높고 시민참여도 높은 사업”

서울시가 박원순 시장 취임 100일을 맞아 톡톡 튀는 아이디어로 시민의 삶을 변화시킨 정책을 선정하고 시민의 평가를 받는다.

시는 박 시장 취임 이후 예산 집행의 효율성을 높이거나 시민 참여도를 높인 아이디어 정책 ‘희망씨앗’ 100개를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희망씨앗은 변화의 첫걸음이 되는 정책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100개의 희망씨앗은 다른 지방자치단체와 차별화되고 당장 시행할 수 있는 아이템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시는 100개의 희망씨앗을 비 예산 창의적 아이디어 사업, 효율적 예산 집행, 시민 직접 참여, 정책 기조 변화 등 4가지 분야로 분류했다.

예산을 들이지 않고 시민 혜택을 늘릴 수 있는 희망씨앗 분야에는 총 22개의 아이디어 정책이 선정됐다.

점심때 영세한 식당 앞 주차 단속을 완화하는 정책, 세금고지서 발급 전에 과·오납 환급금을 미리 공제해 잔액만 알리는 정책, 사회기부 자원을 활용해 저소득 시민에게 복지 혜택을 늘리는 희망마차 등이 포함됐다.

교육, 보육, 주거, 일자리 등 지원이 시급한 분야에 예산을 투입해 효율성을 높인 희망씨앗에는 총 44개 정책이 꼽혔다.

국공립 어린이집 동별 2곳 이상 설치, 이사 시기 불일치로 인한 자금 부담을 덜어주는 전세보증금 센터, 저소득 시민을 위한 공공원룸주택, 서울시립대학교 반값 등록금 등이 이 분야에 이름을 올렸다.

시민이 자유롭게 시정에 대해 의견을 개진하는 시민발언대, 일반 시민이 시정을 경험하는 1일 시장·명예부시장 제도 등 18개 정책은 시민의 참여도를 높인 희망씨앗에 선정됐다.

또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서울시민 복지기준선, 서민들이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희망온돌 프로젝트, 마을공동체 등 16개 정책은 시민이 주인이 되는 희망씨앗으로 분류됐다.

시는 30일부터 다음 달 3일까지 시 홈페이지에 100개의 희망씨앗 정책을 게시하고 시민의 평가를 받는다.

시민은 시 홈페이지 ‘천만상상 오아시스 테마상상’ 코너에서 희망씨앗 정책에 대한 아이디어와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시는 박 시장 취임 100일을 기념해 희망씨앗의 내용과 시민 평가 결과 등을 종합 정리한 e북을 시 홈페이지에 게시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가장 많은 시민이 우수하다고 평가한 정책은 최우선 순위로 추진하고 희망씨앗별로 시민이 제출한 의견은 정책에 반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최호정 의장과 함께 가래여울마을 한강변 정비 현장 점검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7일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과 함께 강동구 가래여울마을 한강변 정비 현장을 방문, 진행 중인 정비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가래여울마을은 상수원 보호구역이자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최근 시민들의 이용이 늘어나면서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는 안전한 이용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박 의원은 작년부터 여러 차례 현장을 찾아 시민 불편 사항을 청취하고 개선책 마련에 힘써왔다. 박 의원은 “가래여울마을 한강변은 강동구의 소중한 자연환경 자산으로, 시민들의 안전하고 쾌적한 이용과 생태환경 보전이 균형을 이뤄야 한다”라며 “최호정 의장님과 함께 현장을 직접 살펴보고, 자연과 사람이 공존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들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현장 점검에는 미래한강본부 관계자들도 함께 참여해, 한강변 접근성 개선과 안전 강화를 위한 현실적인 대책 마련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눴다. 주민 의견을 중심으로 가래여울 한강변 정비를 위해 힘써온 박 의원은 “강동구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시민들이 안심하고 한강을 누릴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최호정 의장과 함께 가래여울마을 한강변 정비 현장 점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