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비만 12년새 2배↑ 女 저체중 증가세 뚜렷
고도비만인 사람도 늘었지만 체중이 너무 가벼운 젊은 여성도 늘었다. 최근 10년 새 체중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졌다.보건복지부는 10일 제3회 비만 예방의 날을 맞아 1998~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토대로 한 성별, 생애 주기별 체중 변화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1998년 26.3%였던 비만율은 2001년 30.6%에 다다른 뒤 2010년까지 30~31% 수준에 머물렀다. 남성은 2001년 32.4%에서 2010년 36.6%로 증가한 반면 여성은 2001년 29.3%에서 2010년 26.6%로 감소했다.
그러나 고도비만은 1998년 2.4%에서 2010년 4.2%로 12년 사이 2배가 됐다. 남성은 1998년 1.7%에서 3.7%로, 여성은 3.0%에서 4.6%로 증가해 남성의 증가 폭이 컸다. 비만은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인 체질량지수(BMI)가 25㎏/㎡를 넘는 상태다. 30㎏/㎡를 초과하면 고도비만으로 분류된다.
체질량지수가 18.5㎏/㎡에 미치지 못하는 저체중 비율은 전체적으로 큰 변화가 없었으나 20~30대 젊은 여성들에게서는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오상우 동국대 일산병원 교수는 “저체중군은 골다공증 등 질병과 영양 불균형의 위험이 높으며 저체중군의 사망 위험도는 비만군 못지않게 높다.”고 말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남성과 고연령 여성의 저체중 개선은 생활 수준에 따른 영양 개선의 결과로 보이며 서구형 고도비만 증가에 따라 고른 영양 섭취, 신체 활동, 절주 등 건강한 생활을 위한 실천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소라기자 sora@seoul.co.kr
2012-10-11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