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아연·주석·황 화합물 재료 “대구경북과기원에 36억 지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강진규(차세대융복합연구센터장) 연구팀이 상용화가 가능한 진공스퍼터링공정으로는 세계 최고수준인 광전변환효율 8%대의 CZTS(구리·아연·주석·황)계 박막 태양전지 개발에 성공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강진규(앞줄 오른쪽) 차세대융복합센터장과 연구원들
22일 DGIST에 따르면 이 성과는 지난 18일부터 사흘간 부산에서 열린 한국태양광학술대회(GPVC)에서 발표됐다.
이번 연구는 국내 CZTS계 박막 태양전지의 효율을 세계 최고수준으로 끌어올린 것은 물론 박막 태양전지 시장 확대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와 관련, 연구팀은 지식경제부로부터 4년간 36억원을 지원받을 예정이다.
박막 태양전지에 관한 연구는 실리콘을 소재로 하는 태양전지가 원자재 가격상승, 공정 등의 문제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자 이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구리, 아연, 주석, 황, 셀레늄 등의 화합물을 재료로 하는 CZTS계 박막 태양전지는 생산단가가 낮고 효율이 높아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DGIST 측은 덧붙였다.
강 센터장은 “태양광 산업이 과도기를 겪는 가운데 이번 연구성과가 박막 태양전지 시장 창출을 앞당길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2012-11-2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