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여직원 ID 16개로 대선글에 99회 찬반 표시

국정원 여직원 ID 16개로 대선글에 99회 찬반 표시

입력 2013-01-04 00:00
수정 2013-01-04 00: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警, 공직선거법 적용여부 검토

불법 선거운동 의혹을 받고 있는 국가정보원 여직원 김모(28)씨가 대선 관련 인터넷 게시물에 99차례에 걸쳐 추천·반대 의견을 표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 수서경찰서는 3일 김씨가 지난 8월 말부터 지난달 11일까지 특정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대선과 관련된 94개 게시글에 추천·반대의 아이콘을 누르는 방식으로 99차례 의견 표명을 했다고 밝혔다. 이 커뮤니티는 지난 대선 때 문재인·안철수 전 후보를 지지하는 글이 주류를 이뤘던 진보성향의 유머사이트다.

경찰은 “김씨는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을 옹호하는 성향의 의견 표명을 했지만 반대로 문재인 전 후보 쪽을 클릭한 것도 꽤 있었다”면서 “아직 특정한 경향이나 패턴을 보였다고 하기는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찬반 의견표명 외에 김씨가 직접 댓글을 단 정황은 포착되지 않았다.

해당 커뮤니티는 아이디, 닉네임(별명), 이메일 주소만 입력하면 실명인증 없이도 회원가입이 가능하다. 김씨는 지난해 8월 28일 이후 순차적으로 16개의 아이디를 만들었으며 아이디를 만들 때 사용했던 이메일은 모두 주민등록번호가 필요 없는 ‘야후’의 계정이었다.

경찰은 공무원 신분으로 추천이나 반대를 한 것이 공직선거법 적용 대상인지 법리 검토를 하고 있다.

조은지 기자 zone4@seoul.co.kr



2013-01-04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