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현재…28% 월소득 500만원 이상7.6% 자녀 유학 경험…1인당 유학비 평균 4천857만원
서울 강남구에 사는 10가구 중 3가구 정도는 월 평균 소득이 500만원 이상이며, 사교육비로 가구당 월 평균 114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강남구(구청장 신연희)는 이러한 내용을 포함한 ‘2011년 강남 사회지표’ 조사ㆍ분석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전체 가구의 27.5%는 월 평균 소득이 500만원 이상이었다. 이는 2009년 조사 때의 34.4%보다 다소 줄어든 수치다. 이어 3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19.3%),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18%), 40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17.6%) 순으로 나타났다.
또 자신의 정치ㆍ경제ㆍ사회적 위치를 ‘중간 이상’이라고 생각하는 구민은 78%로, 2009년(85.2%)보다 낮아졌다.
구 관계자는 “강남도 전국적인 경기침체의 영향을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반면 가구당 사교육비는 월 평균 114만원으로 나타나 2년 전(109만원)보다 5만원 늘었다.
월 소득 200만원 미만 계층에서는 월 평균 71만원을, 월 소득 1천만원 이상 계층에서는 월 160만원을 사교육비로 지출해 소득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 자녀 1명당 사교육비는 월 평균 107만원이었다.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 가구주가 108만원을 지출해 고졸 이하 가구주(103만원)보다 다소 많이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녀를 해외 유학보낸 적이 있다고 응답한 가구는 전체의 7.6%로, 1인당 평균 유학비용은 4천857만7천원으로 집계됐다. 2년 전 조사에서는 각각 12.8%, 5천787만4천원이었다.
사설학원은 1천965개로 집계돼 2010년(1천834개)에 비해 7.1% 늘었다. 인구 1천명당 사설학원수는 3.5개로 서울시(1.3개)의 2.7배 수준이었다.
2010년 기준 1인 가구 비율은 30%로, 서울시나 전국 비율(24%)보다 월등히 높았다. 1인 가구 중 여성 가구 수의 절반은 미혼이었다.
생산가능인구(15~64세) 비율은 78%로 서울시 평균(76%)을 약간 웃도는 데 반해, 노인인구 증가율(6.7%)은 전국(3.5%)보다 두 배 가까이 높아 노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병원 수는 의원이 서울시의 3.3배, 치과병(의)원이 2.5배, 한방병(의)원이 2배로 많았다. 특히 성형외과는 서울 전체의 72%에 해당하는 288개가 몰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환자 수는 2만4천535명으로 전년보다 28% 증가했으며, 외국인 숙박객 수는 103만2천665명으로 40% 늘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