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민 사교육비 가구당 월평균 114만원

서울 강남구민 사교육비 가구당 월평균 114만원

입력 2013-01-17 00:00
수정 2013-01-17 09: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11년 현재…28% 월소득 500만원 이상7.6% 자녀 유학 경험…1인당 유학비 평균 4천857만원

서울 강남구에 사는 10가구 중 3가구 정도는 월 평균 소득이 500만원 이상이며, 사교육비로 가구당 월 평균 114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구청장 신연희)는 이러한 내용을 포함한 ‘2011년 강남 사회지표’ 조사ㆍ분석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전체 가구의 27.5%는 월 평균 소득이 500만원 이상이었다. 이는 2009년 조사 때의 34.4%보다 다소 줄어든 수치다. 이어 3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19.3%),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18%), 40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17.6%) 순으로 나타났다.

또 자신의 정치ㆍ경제ㆍ사회적 위치를 ‘중간 이상’이라고 생각하는 구민은 78%로, 2009년(85.2%)보다 낮아졌다.

구 관계자는 “강남도 전국적인 경기침체의 영향을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반면 가구당 사교육비는 월 평균 114만원으로 나타나 2년 전(109만원)보다 5만원 늘었다.

월 소득 200만원 미만 계층에서는 월 평균 71만원을, 월 소득 1천만원 이상 계층에서는 월 160만원을 사교육비로 지출해 소득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 자녀 1명당 사교육비는 월 평균 107만원이었다.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 가구주가 108만원을 지출해 고졸 이하 가구주(103만원)보다 다소 많이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녀를 해외 유학보낸 적이 있다고 응답한 가구는 전체의 7.6%로, 1인당 평균 유학비용은 4천857만7천원으로 집계됐다. 2년 전 조사에서는 각각 12.8%, 5천787만4천원이었다.

사설학원은 1천965개로 집계돼 2010년(1천834개)에 비해 7.1% 늘었다. 인구 1천명당 사설학원수는 3.5개로 서울시(1.3개)의 2.7배 수준이었다.

2010년 기준 1인 가구 비율은 30%로, 서울시나 전국 비율(24%)보다 월등히 높았다. 1인 가구 중 여성 가구 수의 절반은 미혼이었다.

생산가능인구(15~64세) 비율은 78%로 서울시 평균(76%)을 약간 웃도는 데 반해, 노인인구 증가율(6.7%)은 전국(3.5%)보다 두 배 가까이 높아 노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병원 수는 의원이 서울시의 3.3배, 치과병(의)원이 2.5배, 한방병(의)원이 2배로 많았다. 특히 성형외과는 서울 전체의 72%에 해당하는 288개가 몰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환자 수는 2만4천535명으로 전년보다 28% 증가했으며, 외국인 숙박객 수는 103만2천665명으로 40% 늘었다.

연합뉴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최호정 의장과 함께 가래여울마을 한강변 정비 현장 점검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7일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과 함께 강동구 가래여울마을 한강변 정비 현장을 방문, 진행 중인 정비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가래여울마을은 상수원 보호구역이자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최근 시민들의 이용이 늘어나면서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는 안전한 이용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박 의원은 작년부터 여러 차례 현장을 찾아 시민 불편 사항을 청취하고 개선책 마련에 힘써왔다. 박 의원은 “가래여울마을 한강변은 강동구의 소중한 자연환경 자산으로, 시민들의 안전하고 쾌적한 이용과 생태환경 보전이 균형을 이뤄야 한다”라며 “최호정 의장님과 함께 현장을 직접 살펴보고, 자연과 사람이 공존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들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현장 점검에는 미래한강본부 관계자들도 함께 참여해, 한강변 접근성 개선과 안전 강화를 위한 현실적인 대책 마련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눴다. 주민 의견을 중심으로 가래여울 한강변 정비를 위해 힘써온 박 의원은 “강동구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시민들이 안심하고 한강을 누릴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최호정 의장과 함께 가래여울마을 한강변 정비 현장 점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