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우택 의원 법정 증언 ‘불발’…불출석 통보

정우택 의원 법정 증언 ‘불발’…불출석 통보

입력 2013-01-29 00:00
수정 2013-01-29 15: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우택 새누리당 의원이 제19대 총선 직전 자신의 성추문을 유포한 혐의(공직선거법상 후보자 비방)로 기소된 이모(43)씨에 대한 재판에 증인으로 채택됐으나 출석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9일 청주지법에 따르면 정 의원 측은 이날 오전 ‘증인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정 의원 측의 한 관계자는 “이씨에 대한 재판이 진행될 30일 의정 일정이 많아 법정 출석이 어렵다는 내용을 사유서에 담았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30일 의원 총회, 지식경제위원회 소위원회, 새누리당 최고위원 회의 등에 참석할 계획이다.

이번 증인 채택은 검찰의 요청으로 이뤄졌다.

성추문 유포 혐의(공직선거법상 후보자 비방)로 기소된 이씨 측이 검찰 조사를 증거로 채택하는 데 대해 동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씨 측 변호사는 성추문 등을 블로그에 올리기 전 충분히 검증했고, 게재한 내용이 사실이라면 죄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씨는 지난해 3월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정 의원이 2007년 대만, 2008∼2010년 제주도에서 성 상납을 받았다는 글을 올렸으며, 이 글은 인터넷을 통해 급속히 확산했다.

검찰은 경찰에서 사건을 송치받아 수사한 뒤 지난해 10월 이씨 등 3명을 기소했다.

이씨는 2011년 9∼10월 미래저축은행의 불법행위를 고발하는 글을 블로그에 게재한 뒤 이 은행 김찬경 회장을 협박해 3억8천만원을 뜯어낸 혐의로 구속 기소됐다가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풀려났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