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19일 서울 노원구 월계동 광운대 강의실에서 학생들이 주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을 제작한 작가 김운성씨로부터 강의를 듣고 있다. 강의실에는 목각 ‘위안부 소녀상’이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디지털 PR’ 과목 특강에 나선 김씨는 “세계 각국의 기념 상이 땅 위에 서 있지만 소녀상은 땅바닥에 앉아 있다”면서 “발뒤꿈치를 들고 불편하게 앉아 있는 소녀상의 모습을 통해 위안부 할머니들의 아픔을 전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19일 서울 노원구 월계동 광운대학교 한울관에서 소녀상 제작자인 김운성, 김서경 작가 부부 초청 특강을 듣고 있는 학생들 옆에 주한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조각의 원형이 놓여 있다.
손형준 botlago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