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초·중생 87% “6·25전쟁은 북한이 일으켰다”

서울 초·중생 87% “6·25전쟁은 북한이 일으켰다”

입력 2013-06-24 00:00
수정 2013-06-24 1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제2 연평해전’ 모르는 학생 절반 차지

서울 시내 초·중학생 10명 중 8∼9명은 6·25전쟁을 일으킨 주체가 북한이라고 답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절반가량은 2002년 발생한 ‘제2 연평해전’이 어떤 사건인지 몰랐고, 10명 중 1명은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24일 새누리당 이학재 의원이 서울시교육청에 의뢰해 지난 14∼21일 시내 초·중학생 1천489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86.8%는 6·25전쟁은 북한이 일으켰다고 밝혔다.

소련(5.2%), 일본(3.6%), 미국(0.9%), 중국(0.4%), 한국(0.3%)이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이 의원은 한 여론조사에서 청소년의 69%가 6·25전쟁을 ‘북침’이라고 응답한 것과 관련해 용어를 잘못 이해한 학생이 있다고 보고 ‘6·25 전쟁은 누가 일으켰나’라는 질문으로 다시 조사를 시행했다고 설명했다.

6·25전쟁이 일어난 연도를 묻는 문항에는 1950년이라고 바르게 답한 비율은 70.9%이었다. 그러나 1945년(12.8%)이나 1948년(7.8%), 1953년(4.4%)이라는 오답도 적지 않게 나왔다.

2002년 6월 29일 발생한 ‘제2연평해전’에 대해서는 모른다는 학생이 48.3%로 알고 있다는 학생 32.0%보다 16.3%포인트나 높았다. 관심 없다는 응답도 18.5%에 달했다.

2010년 3월 26일 발생한 ‘천안함 사태’는 누가 일으켰느냐는 질문에는 북한이라는 응답이 83.9%로 압도적이었다.

대한민국 안보에 가장 위협이 되는 나라로는 71.0%가 북한, 11.3%가 일본, 5.0%가 미국을 꼽았다.

통일에 가장 영향을 줄 것 같은 나라로는 과반이 미국(55.6%)을 꼽았다. 중국(15.6%), 일본(7.3%), 러시아(2.6%) 등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의 절반가량은 통일이 필요하다(50.3%)고 생각하거나 통일에 관심이 있다(51.3%)고 답했다. 그러나 10명 중 1명꼴로는 통일이 필요 없거나(10.5%) 관심이 없는 것(12.1%)으로 집계됐다.

’북한’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생각을 묻는 주관식 질문에는 ‘김정은’이라는 답변이 450건으로 가장 많았다. ‘핵’(416건), ‘김정일’(286건), ‘전쟁’(200건), ‘공산주의’(154건), ‘빨갱이’(142건), ‘통일’(116건)이라는 응답도 많이 나왔다.

청소년들이 통일·북한에 대한 정보를 얻는 통로로는 TV·라디오 방송(39.4%)이나 인터넷·포털사이트(20.2%)가 학교(14.5%)보다 많았다.

이 의원은 “6·25전쟁이 남침인지 북침인지 잘 모른다는 최근 우려는 과도하나 제2연평해전과 같은 가까운 역사적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학생이 대다수인 것으로 나타났고, 인터넷이나 방송 등에서 파편적으로 접하는 정보가 학생들의 주요한 판단 근거가 되고 있다”며 “학교에서의 역사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김용호 서울시의원, 남산시민대학 어르신 수강생과 함께 맨발걷기대회 주최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부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용호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용산1)은 지난 9일 용산구 용산가족공원 내 잔디마당 및 맨발걷기 건강길에서 개최된 남산시민대학 수강생 맨발걷기대회에 참석, 100여명의 어르신 수강생과 함께 2km를 걸으며 행복과 건강한 삶을 실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행사는 김 의원이 주최하고 남산시민대학, 맨발걷기국민운동본부, 하이컨디션국민운동본부가 공동 주관했으며, 김 의원을 비롯해 용산구의회 김성철 의장, 이미재 구의원, 맨발걷기국민운동본부 박동창 회장, 명영호 용산구지회장과 회원, 하이컨디션국민운동본부 황설 총재, 국민댄조(댄스와 체조) 강사, 남산시민대학 권정남 행정실장과 어르신 수강생 등 약 130여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총 3부로 진행되었는데, 1부에서는 박동창 회장이 일상에서맨발걷기를 실천할 수 있는 방법과 올바른 걷기 자세 7가지를 소개하며 참가자들과 함께 직접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고, 2부에서는 황설 총재와 강사들의 지도로 국민댄조를 즐겼다. 3부에서는 김 의원과 참석자 전원이 ‘맨발걷기 건강길’을 함께 걸으며 1km 구간을 왕복하여 총 2km를 완주한 뒤 행사를 마무리했다. 특히 이
thumbnail - 김용호 서울시의원, 남산시민대학 어르신 수강생과 함께 맨발걷기대회 주최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