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일보 홈페이지 마비…해킹 추정

영남일보 홈페이지 마비…해킹 추정

입력 2013-07-01 00:00
수정 2013-07-01 10: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사 작성·송고시스템은 정상…신문제작 차질 없어

1일 오전 대구에 본사를 둔 지역 유력일간지인 영남일보의 인터넷 홈페이지가 해킹으로 추정되는 피해로 마비됐다.

영남일보 홈페이지 캡쳐
영남일보 홈페이지 캡쳐
이 신문사의 홈페이지는 이날 오전 9시 30분을 전후해 뉴스가 제공되는 화면이 사라지고, 접속이 차단됐다.

홈페이지는 마비됐지만 기자들의 기사 작성 및 송고시스템(집배신 시스템)은 정상 작동해 신문제작에 큰 차질은 빚어지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이 신문사 홈페이지는 어나니머스의 상징으로 영화 ‘브이 포 벤데타’의 주인공인 ‘가이 포크스’(흰색 가면)의 모습과 함께 ‘Hacked by High Anonymous’(한수 위의 어나니머스에 해킹됐다)라는 메시지가 화면 상단에 뜨고 있다.

또 ‘We are Minorty’(우리는 소수이다), ‘We do not Notify’(우리는 미리 알리지 않는다), ‘We do not Fail’(우리는 실수하지 않는다), ‘Whether you Expect or not, We will go’(당신들의 예측과 관계없이 우리는 계속한다) 등의 메시지가 연이어 나오고 있다.

영남일보는 집배신 시스템도 바이러스 등의 영향을 받는 것을 막기 위해 집배신 시스템 접속 전 바이러스 체킹을 반드시 할 것을 직원들에게 요청했다.

영남일보의 한 관계자는 “홈페이지는 서울에 있는 업체가 관리를 하고 있다”며 “해킹으로 추정되는 피해를 당한 뒤 이날 오전 10시부터는 홈페이지 서버 코드를 차단시켰다”고 밝혔다.

대구지방경찰청 사이버범죄 수사대는 영남일보에 전문 인력을 보내 피해 정도와 해킹을 주도한 사람 등을 파악하고 있다.

영남일보에 앞서 지난달 25일에는 매일신문과 대구일보의 집배신 시스템도 해킹으로 추정되는 피해를 입어 마비됐었다. 매일신문의 집배신 시스템은 복구됐지만 대구일보의 시스템은 기자들이 로그인을 할 수 있지만 일부 기능은 아직 정상적인 작동을 하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